-
-
로마사를 움직이는 12가지 힘 - 공화정·회복탄력성·공공성·대립과 경쟁·영웅과 황제·후계 구도·선정과 악정·5현재·혼돈·군인황제·유일신교·멸망
모토무라 료지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3년 11월
평점 :
'로마' 라는 단어가 없는 유럽의 역사... 아니 세계사가 과연 성립할 수 있을까? 이처럼 로마는 단순한 하나의 국가로서의 존재 뿐만이 아니라, 이후 중세와 근대 등의 오랜 역사에 이르러서도 그 문명의 흔적을 계승하여 발전시켜 온 것과 같이 거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때문에 예로부터 고대 로마제국은 이후 수 많은 국가들이 모티브가 되어 주었을 뿐만이 아니라, 심지어 그 국가의 멸망에 대하여도 '무엇이 찬란한 문명을 파괴하였는가?' 를 주제로 수 많은 지성인들이 각각의 주장을 통해 이후 벌어질 '문명의 과오'를 막을수 있는 여러 방법 등을 모색해왔다.
그렇기에 오늘날에도 고대 로마제국은 그 국가의 발전과 확장주의적 성과를 바탕으로 '국가의 강점이 발현되기 우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가?' 또는 '수많은 민족 등이 어우러진 조직을 '제국'으로 성장시킨 원동력은 무엇인가' 와 같은 보다 힘찬 국가 에너지는 무엇으로 인하여 발현되는가에 대한 여러 질문에 대한 훌륭한 예시를 많이 드러내왔다.
때문에 저자는 이러한 국가의 시작과 부흥, 이후 몰락에 이르는 오랜 역사를 통틀어 인간의 삶과 죽음에 이르는 '인생'에 비유했다. 그야말로 로마의 태동은 축복받은 지정학적 특이점이나, 풍요로운 인적자원 등의 장점이 아니라, 반대로 언제나 위협받는 등의 나약함을 극복하는 와중 터득한 불굴의 의지와, 융통성, 이후 카르타고와 같은 거대한 문명과의 대립과 경쟁을 통해 그 당시 시대상에 필요했던 '공화정 파시즘'을 스스로 구축하고 강화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로마는 다양한 형태로 모름지기 군인으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조직적으로 함양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로마의 공화정은 단순한 공화정이 아닌 공화정 파시즘으로 바라보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사례들이다. (...)
115쪽
결국 고대 로마 사회에 비추어 드러나는 선진 문명의 찬란함과는 대비되어지는 콜로세움에서의 피비린내 나는 잔인한 오락 등이 성행한 까닭은, 결국 로마인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군인이자 전사로서의 정신적 함양 또한 필요한 것이라는 것을 공통적으로 인정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이처럼 전사이자 군단을 위한 국가 고대 로마가 이후 로마제국으로 변화하고 또 서서히 다른 형태의 정체성을 가져가는 와중에서 과연 로마는 과거와 미래 무엇을 얻고 또 무엇을 내려놓음으로서 멸망하였는가... 이에 대한 나름의 질문을 가지고 이 책을 마주한다면, 의외로 저자는 여러 단어를 키워드로 그 질문에 대한 세세한 해답을 내놓는다.
사람은 아무리 뛰어난 기술과 교양이 있어도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면 활용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 내 몸이 고생스럽지 않으면 굳이 머리를 써서 합리적으로 변화시키고 경제 활동을 발전시키겠다는 발상 자체가 생겨나지 않는다.
노예제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