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주의자 선언 - 99%의 풍요를 위한 자본주의 경제를 열다
요한 노르베리 지음, 김종현 옮김 / 유노북스 / 2025년 8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책을 증정 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자본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하는 이 책은, 오늘날 대체할 만한 다른 체제가 부재한 현실 속에서 미국을 비롯해 우리나라, 일본, 그리고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이 채택하고 있는 자본주의 체제의 본질과 흐름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게 해준다. 자본주의는 분명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존재한다. 하지만 그동안 나는 자본주의에 대해 단순한 이해만 가지고 있었고,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이 책을 통해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먼저 품고 읽기 시작했던 기억이 난다.
특히 흥미로웠던 점은 스웨덴, 알바니아와 같은 다양한 국가들의 실제 사례를 통해 자본주의와 경제 활동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단순히 미국이나 우리나라 같은 특정 국가의 관점에만 머무르지 않고, 전 세계적인 시각에서 경제와 자본주의의 흐름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책이었다.
또한, 여러 나라의 경제학자들이 연구하고 발표한 실험 결과들이 이 책에 담겨 있어서, 객관적인 통계와 데이터를 통해 사람들이 어떤 방식으로 경제 활동을 하고 있고, 현재 전 세계 경제가 어떤 구조로 움직이고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나는 미국의 산업과 노동, 시장, 그리고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판단력과 통찰력을 얻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거대한 부와 영향력을 가진 억만장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단순한 호기심이나 편견을 넘어 그들을 통계적·경제적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키울 수 있었다.
이 책의 저자는 경제 역사학자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이며, 브뤼셀에 위치한 유럽 국제 정치경제센터의 선임 연구원인 요한 노르베리다. 그는 이 책에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산업과 산업화, 제조업과 노동, 그리고 억만장자들의 영향력과 역할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중국의 경제적 부상에 대한 분석이다. 오늘날 중국은 전 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이 책의 후반부에서 다뤄지는 중국 경제의 흐름과 그로 인한 세계 경제의 변화에 대한 내용은 반드시 읽어볼 가치가 있다.
이 책은 단순히 자본주의라는 특정한 체제의 장단점을 서술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대신 전 세계적인 시각에서,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경제의 방향과 구조를 이해하고 새로운 통찰을 얻게 해주는 유익한 경제 역사서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지닌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의 본질을 더 깊이 이해하고, 나아가 경제와 사회의 흐름을 통찰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고 싶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볼 만한 책이라고 자신 있게 추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