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하필 교도관이야? - 새로운 시선과 그림으로, 개정판
장선숙 지음, 김지영 그림 / 예미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을 증정 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형사법과 교정학, 교정시설에 대한 관심이 많았던 사람이라면, 이 책은 단연 눈길을 끌 만한 작품이다. 평소 형사정책이나 교정 제도, 그리고 교정시설의 실제 운영 방식에 대해 궁금해했던 사람들에게 이 책은 교도소 내부의 세계를 현장의 생생한 경험으로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책은 35년 동안 교도소에서 근무하며 평생을 교정에 바친 장선숙 교도관님이 직접 집필한 것으로, 소담코코(김지영) 교도관의 그림이 함께 어우러져 교정의 세계를 보다 따뜻하고 현실감 있게 담아낸다.

무엇보다 이 책의 큰 매력은 교도소라는 폐쇄적 공간을 실제 경험자의 시선으로 보여준다는 점이다. 교도소라는 공간은 일반인에게는 낯설고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곳이다. 직접 가서 배워볼 수도 없고, 언론 보도만으로는 그 내부의 복잡한 현실을 이해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독자는 교도소 내부의 생활과 교정 시스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단순히 제도적 측면이 아니라,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감정, 그리고 교정의 진짜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저자는 왜 교도관이 되었는지, 교정직을 선택하게 된 계기와 과정, 그리고 그 속에서 마주친 수많은 사람들과의 에피소드를 진솔하게 풀어놓는다. 책 속에는 복역 중인 수형자들과의 인간적인 교류, 출소 후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는 이들의 변화, 그리고 교도관으로서의 사명감과 고뇌가 함께 담겨 있다. 예를 들어 중학교 2학년 딸을 둔 출소자가 저자에게 ‘나도 당신처럼 훌륭한 교도관이 되고 싶다’고 말하는 감동적인 장면은 이 책의 정서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 책은 단순히 제도와 법의 이야기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다. 교정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인간 군상과 삶의 이야기들, 그리고 그 속에서 교도관이 느끼는 감정의 무게를 따뜻하게 전한다. 교정 공무원들이 일선에서 어떤 시스템을 운영하는지, 수형자들은 하루하루 어떤 방식으로 생활하는지, 교도소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흐름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저자는 근무 중에 편지를 주고받은 수많은 사람들의 사연을 소개하며, 그중 특히 기억에 남는 편지 몇 통을 독자에게 공개한다. 그 편지들은 교도소 안팎의 경계를 넘어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교감을 느끼게 해주며, 교정의 진정한 의미가 단순한 처벌이 아닌 변화와 회복에 있음을 일깨워준다.

이 책은 교정시설의 구조나 제도를 학문적으로 분석하는 학술서라기보다, 현장의 감동과 사람 냄새가 묻어나는 이야기 중심의 책이다. 따라서 형사정책이나 교정학을 전공하는 학생, 교정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사람, 혹은 교정시설의 실제 운영과 사람들의 심리를 알고 싶은 독자들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수감자를 가족으로 둔 사람들이나 교도소의 현실에 대해 막연한 궁금증을 가진 일반인에게도 유익한 내용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이 책은 단순히 교도소의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인간이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는지, 그리고 교정이라는 제도가 왜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장선숙 교도관의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진정성과 통찰이 책 전반에 녹아 있으며, 읽는 내내 교정의 세계가 단순히 ‘죄의 대가를 치르는 곳’이 아니라 ‘새로운 삶을 배우는 공간’임을 깨닫게 된다.

결국 이 책은 형사정책과 교정 시스템을 인간의 눈으로 해석한 기록이자, 교도관이라는 직업의 본질을 보여주는 따뜻한 휴먼 다큐멘터리 같은 책이다. 형사법과 교정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봐야 할, 현장감과 인간미가 살아 있는 교정 이야기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