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미안
헤르만 헤세 지음, 이상희 옮김 / 책만드는집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문학중에는, 간혹 한번 읽으면 절대 안되는 작품들이 있다. 물론, 여러번 읽어도 그 가치가 변화하지 않고 시간이 흘러도 그 자체만으로 가치가 있기에 고전이라 불리우는 것이겠지만 고전 중에서도 그런 작품들이 유독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그 작품들의 목록에는 언제나 이 작품 데미안이 있다. 헤르만 헤세라는... 혹시나 그가 무슨 작품을 썼는지는 모를지라도 그 이름만으로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것 같은 대문호의 대표적인 작품. 그러니 데미안에 대해 이런 설명을 구태여 붙일필요가 무엇이 있겠는가.. 그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일 뿐인데 말이다.
데미안은 일종의 성장소설이다. 하지만 어린시절 데미안을 접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도포기를 하거나 혹은 무작정 글자들을 읽는데에만 그칠뿐이다. 그만큼 데미안은 성장소설이지만 청소년들이 읽기에는 뭔가 복잡하고 오묘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데미안의 주인공인 싱클레어가 데미안을 만나게 되면서 데미안은 뭔가 알듯모를듯한 글들로 읽는 사람을 혼돈에 빠트린다. 그리고 이 모호함은 데미안을 읽을때마다 새로운 의미의 부여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래서 10번을 읽으면 10번의 데미안이, 100번을 읽으면 100번의 데미안이 탄생할 수도 있다. 아마 데미안이 가지는 이런 힘은 데미안이라는 이야기 자체가 스스로를 끝없이 돌아보아야 하는 스스로를 찾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림하나를 보아도 받는 감동의 모양새는 다르듯, 나의 경험과 나의 생각이 모두 다르기에 또 다른 데미안을 만들고, 새로운 데미안으르 느끼게 하는 것이리라..
책의 제목은 데미안이지만 이 책의 주인공은 싱클레어이다. 모든 것을 그저 있는 그대로로 인식하는 아주아주 평범한 우리주변의 누군가와 닮은 사람 말이다. 그리고 그 주변에 데미안이 있다. 주인공은 싱클레어이지만 그를 앞서는 존재감으로 결국은 책의 제목이 되는 데미안, 그는 주인공으로 하여금 생각하게 궁금하게 하며 의심하게 하는 요소를 끝없이 제공한다.
그리고 주인공인 싱클레어는 끝없이 다른 데미안을 통해 당연했던 스스로에서 빠져나와 무언가 알 수 없는 것들을 발견하기 위해 치열하게 싸우고 견뎌내는 또 다른 자아를 구축해간다. 데미안은, 주인공인 싱클레어에게 일종의 안내자이자 스승이며 동시에 세상을 보는 문이기도 한 것이다.
데미안을 읽고 난 다음 많은 사람들은 데미안을 곁에 두려한다. 끝없이 사유하고자 하고, 무엇인가를 궁금해하며 내가 이해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분주하게 뛰어다니고자 한다. 데미안은 책 밖으로 나와 나의 곁에서도 그렇게 또 하나의 데미안이 되어 나를 인도하게 되는 책이기도 하다.
어느 영화에선가 이런 대사를 본 적이 있다. 한명의 사람은 하나의 세상을 가진다. 때문에 누군가가 죽는다는 것은 하나의 세상이 죽는것과 같다.
데미안은 말한다. 너의 세상을 가지라고 말이다.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세계가 아닌 스스로 구축한 나의 세계 말이다. 그리고 그 세계의 중심에는 움직이는 스스로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말에서 과연 누가 공감을 얻을 수 없겠는가. 데미안이 누군가의 데미안으로 존재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는 생각을 문득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