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전설 : 서양편
아침나무 지음, 이창윤 그림 / 삼양미디어 / 2009년 9월
장바구니담기


비슷하고도 다른, 믹스 앤 매치 전설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전설> 서양편에는 서양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다양한 전설들이 담겨있다. 대륙별, 종류별로 짧게 수록되어 있는 전설들은 우리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로빈훗이나 빌헬름텔, 아서왕 이야기와 코요테의 생활양식에 대한 것까지 꽤 다양하고 많은 양이어서 읽는 내내 어린 시절로 돌아간듯한 느낌을 받게 한다.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전설>중 서양편을 읽다보면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우리와는 상당한 거리를 보이는 이 많은 대륙들에서 전해지는 꽤 많은 전설들이 우리나라에도 이름만 다르다 뿐이지 비슷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설들은 권선징악의 결말을 보이고, 선인과 악인의 구분이 꽤 명확한데다 그 소재까지도 놀라울만큼 비슷하다. 책에서 예로 들고 있는 신데렐라와 콩쥐팥쥐이야기가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물론 각 대륙과 나라의 문화적 사회적 특성에 따라 독특하게 형성되어 전해지고 있는 전설들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머리 풀어헤치고 피를 흘리는 소복입은 처녀귀신이 자주 등장하는 반면, 동유럽에는 거인이, 영국에는 요정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그 나라의 역사를 흐르는 민족적 정서가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탓일테다. 때로는 이런 저런 전설들이 섞여 하나의 이야기가 되기도 하고 하나의 전설이 잔가지를 치듯 비슷한 류의 이야기들을 다량 생산해내기도 한다. 다~ 오랜 시간을 거치며 파생된 아류들일테지만 말이다. 확실한 것은 이런 현상이 전세계에서 통용되는 만고불변의 진리가 존재한다는 사실과 함께 각각의 문화가 조금씩은 차별성을 두고 다른 가치를 지향하며 존재해왔다는 두가지 사실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 아닐까?

전설로서의 가치, 그 이상의 것.

전설은 그것이 신화이든 혹은 기담문학이든 꽤 오랜시간을 거치며 전해져 온 나름의 문화유산이다. 많은 양의 전설이 존재하고 있고, 하나하나의 전설이 그 전설을 가진 곳의 고유한 문화와 정서를 담고 있기에 모두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전설은 다양한 형태의 또 다른 가치를 만들어내는 일종의 문화생산공장과도 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어린시절 할머니의 치마폭에 머리를 베고 누워 듣던 자장가 대용의 동화뿐 아니라 수 많은 문호들의 위대한 문학작품의 모티브로서 그 역할을 하기도 하고,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음악가를 통해 오페라와 가곡으로 재탄생 되기도 한다. 신화와 판타지에 가까운 전설들을 필름을 통해 실현해내어 사람들의 환상을 채워주는 역할을 맡기도 한다. 앞으로는 단순히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깃거리가 아니라, 그 가치를 곱절로 더해 단순한 전설이 아닌 문화라는 이름으로 위치를 바꾸어가는 전설의 모습을 보는 지켜보는 것도 아주 즐겁지 않을까? 물론 가금은 어린시절 할머니께 듣던 동화가 추억이 되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