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전쟁 - 세계 최강 해군국 조선과 세계 최강 육군국 일본의 격돌 우리역사 진실 찾기 2
백지원 지음 / 진명출판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학자 E.H.Carr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다.

역사는 사실 그대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관점에서 늘 새롭고 다양한 측면을 발견해내고 재조명했을때 그 의미가 더욱 강해진다는 의미가 아닐까? 역사는 그렇게 사실로서의 가치보다 현재에 어떻게 적용하느냐 그리고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변동하며 이를 위해 많은 역사학자들은 이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를 위해 오랜시간을 연구하고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내기 위해 애를 쓰는 것이다.

 

임진왜란이 아닌 조일전쟁, 그리고 그 안에 숨겨진 많은 인물과 사건들.

조일전쟁의 가장 큰 강점은 임진왜란이라고 널리 알려진 역사적인 사실을 재조명하고 이긴자들에 의해 왜곡되어 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관련인물들과 사건들에 대해 조금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일테다. 임기5년의 대통령만 바뀌어도 때때로 전혀다른 역사적 평가가 수면위로 부상하는 것이 역사학계인데 시간이 지난 조선시대라고 해서 그렇지 않겠는가? 집권층의 정당성과 권력의 유지를 뒤해 자신들의 위상을 높이고 일어난 사건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작업이 있었으리라는 예상정도는 굳이 역사학자가 아니라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 책, 조일전쟁이 역사속에 자칫 왜곡된 채로 남겨졌을지 모를 수많은 인물들과 사건들에 대해 다시 되짚어 보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별다른 업적이 없는 왕 이하로는 생각하지 않았던 선조의 구체적인 실정의 내용이나 인간 이순신에 대한 고찰, 그리고 국내 뿐 아니라 전쟁에 관련했던 왜장에 대한 평가까지.. 국사책 한권으로는 채 알지 못했던 사실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것. 바로 그것이 이 책 조일전쟁이 가지는 진정한 의미가 아닐까 한다.

 

강한 어조 아래 자칫 놓치기 쉬운 역사학자의 시선.

조일전쟁을 처음 접한 순간 가장 당혹스러웠던 것은 책의 전체적 분위기를 좌우하는 저자의 어법이었다. 막말에 가까운 표현과 지극히 주관적으로 보이는 사건과 인물에 대한 평가, 그리고 혼자 읊조리듯 사이사이를 채우고 있는 작가의 관점들은 이전의 어떤 책에서도 만난 적이 없었기에 그 당혹감은 더욱 크게만 느껴졌으리라. 전작인 <백성 편에서 쓴 조선왕조실록, 왕을 참하라.>의 발간 이후 인터넷을 통해 상당한 악플세례를 받았다고 언급한 것을 볼때, 아마 전작에서도 이런 어법으로 책을 저술하지 않았을까 하는 짐작도 하게 한다. 읽기에는 다소 불편하고 지극히 주관적인 관점만을 늘어놓는 것으로 보이는 이 책에 대해 사실 나도 부정적인 느낌을 강하게 받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책을 저술하는 어법 자체가 아니라 이 책이 제시하는 역사에 대한 끝없는 의문이 아닐까 한다. 자칫 이 책을 접했을때 받는 부정적인 첫인상으로 인해 저자가 독자에게 묻고 있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 의심해 보았는가?"라는 질문을 놓치지 않는 것이 이 책을 읽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