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근한 매력 - 내성적인 사람이 성공하는 자기관리법
로리 헬고 지음, 임소연 옮김 / 흐름출판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나는 내향적인 사람인가, 외향적인 사람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를 내향적인 사람이라고 평가할까 아니면 외향적인 사람이라고 평가할까?

어느 경우이든 외향적인 사람은 본인이 더욱 진취적이고 활발한 사람이기를 바라고 내향적인 사람은 본인이 외향적인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향적인 사람을 이상향에 가까운 인간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것인데 정말 외향적인 사람은 내향적인 사람보다 인성적으로 뛰어난 것일까? 은근한 매력은 이 질문에 대해 "아니다"라는 답을 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책이다. 당신이 내향적인 사람이라고 해서 그것이 외향적인 사람에 비교해볼때 뒤떨어지는 것은 아니며 A와 B의 취향이 서로 다른 것이 상대적인 차이일 뿐 우월과 열등의 결과가 아닌 것처럼 내향과 외향도 상대적인 차이점일 뿐이라는 것.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 내향적인 사람이 스스로를 인정하는 첫 단계라고 말하는 것이다.

 

나는 내향적인 사람이라고 인정하라.

내향적인 것이 외향적인 것에 대해 열등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나면 내향적인 사람은  굳이 스스로를 외향적인 사람으로 부자연스럽게 바꿀 필요가 없다는 것 또한 깨닫게 되는데 여기에서부터 내향적인 사람은 스스로의 영역을 주장할 권리를 스스로 찾아나갈 힘을 얻는다고 설명한다. 내향적인 사람의 자기 영역 사수를 위한 주장이라.. 스스로의 영역을 주장하는 내향적인 사람은 과연 내향적인 사람일까 아니면 외향적인 사람일까?

 

은근한 매력의 저자는 한국인이 아니다.

책을 읽는 동안 나는 이렇게 수없이 모순되는 질문에 빠지곤 했다. 내향적인 사람에게서도 외향적인 부분을 찾을 수 있으며 외향적인 사람에게서도 내향적인 부분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하고, 내향적인 사람도 종류가 여러가지이며 그 종류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내향적일 수 있다고 말하는 책. 이렇게 내향적인 사람의 범주를 끝없이 넓혀나간다면 굳이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을 나눌 필요자체가 있긴 한걸까?라는 식의 질문 말이다. 또 은근한 매력의 저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스로를 외향적이라고 믿고 있으며 그러나 현실은 절반이상의 사람들이 내향적이더라라는 전제를 깔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문화적인 차이겠지만 사실 이런 전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조금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점들 때문에 책을 읽는 동안 스스로 책을 수정하는 재미와 함께 (비록 답을 해주진 않지만) 읽는 동시에 끝없이 질문을 하는 연습도 할 수 있는 책이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이 모두 읽어야 할 책.

책 속에서 저자는 내향적인 사람을 기준으로 그들이 갖추어 나가야 하는 스스로를 위한 길들을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설명한다. 하지만 그 속에서는 내향적인 사람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대상인 외향적인 사람이 역시 반복적으로 출연하고 그들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함께 병행하면서 서로의 차이점을 서로에게 설명하는 데 꽤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때문에 책을 읽는 사람은 내향적인 사람과 동시에 외향적인 사람을 이해하게 되고 외향적인 사람이 내향적인 사람을 이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내향적인 사람이 외향적인 사람을 이해하고 준비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책이라면 내향적인 사람에게 필요함과 동시에 내향적인 대부분의 사람들을 주변에 가지고 있는 외향적인 사람들에게도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하는데 꼭 필요한 책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