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 대한민국 30대를 위한 심리치유 카페 ㅣ 서른 살 심리학
김혜남 지음 / 갤리온 / 2008년 2월
평점 :
어린 시절에는 20살만 되면 어른인줄 알았다. 그리고 스무살에는 서른이 되면 뭔가 확실한 것이 존재하리라 믿었다. 그렇게 시간은 흘러흘러 나는 이제 한국 나이로는 31세, 만으로는 30을 조금~ 아주 조금 남겨두고 있다. 스무살 성년식을 마치고도 아득히 멀게만 느껴졌던 어른의 나이 서른, 서른이 된 나는 과연 스무살에 그렸던 무언가 확실한 것을 하나라도 쥐고 있는가? 참으로 씁쓸한 질문이 아닐 수 없다. 최근 여기저기에서 서른이라는 숫자가 상징처럼 거론되고 있음을 지켜보며, 나의 서른살에도 조금은 관심을 기울이고 싶다면, 이 책,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를 추천한다.
서른, 모든것이 어정쩡한 나이.
평균연령이 갈수록 높아지고, 노령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만큼 나이에 따라 기대되는 사회적 역할에도 어느 정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예전에는 고등학교 시절에 맞았던 사춘기를 중학교 시절에 맞고 때로는 2차성징이 초등학교 시절부터 나타나는 것을 보면, 몸들은 다들 빨리 어른이 되어가고 있는것이 분명한데, 이상하게도 그들에게 요구되는 역할들은 갈수록 어려지는 것이 아마도 살아야할 세월들이 갈수록 늘어남에 이유를 두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은 생각도 해본다. 스무살만 되면 어른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오로지 착각에 지나지 않았으며, 10년이 더 흘러 서른이 된 이들에게도 세상은 여전히 뭐가 뭔지 모르는 오리무중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 서른들은 길을 잃고 서성인다. 어른도 아니고 아이도 아닌 나이, 확실하게 구축된 사회적 위치도 없고, 가정을 꾸리는 것도 당연하게는 생각되지 않는 나이. 무언가를 책임지는 것을 망설이고, 안정도 필요한 나이. 서른은 그렇게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만드는 어정쩡한 상태로 남아 우리를 괴롭힌다. 자.. 이쯤 되면 서른들은 스스로를 돌아보아야 할 필요가 생긴다. 그리고 그런 필요성에 대답하는 책이 바로 이 책.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이다. 책은 서른이라는 나이의 젊은이들이 가지는 불안정한 심리상태와 사회적 위치에 대해 십분 이해하는 마음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식의 뻔하고 고리타분한 교과서적 해답들을 늘어놓는 대신 스스로에 대해 끝없이 묻고 대답하게 한다. 그 질문속에 서른에 대한 이해과 공감, 그리고 모든 배려를 함축한채 말이다.
이해받고, 대답하며 스스로 위로하다.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의 가장 큰 매력을 들으라면, 지시형 문장으로 사람을 질리게 하는 대신, 스스로 답하고 근원을 찾아가게 하는 소크라테스식 길 찾기를 제시한다는 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누군가가 제시한 뻔해보이는 길이 주는 밑도 끝도 없는 반감대신, 스스로 고민하게 하면서 답을 찾고 더 나아가 스스로를 다독이는 방법까지도 이끌어낸다고나 할까? 누군가의 조언보다 때로는 스스로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는 것을 이 책의 저자는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위로가 필요한 서른살이여, 길을 찾기 위해 스스로를 이해하고 다독여보라 그러면 새로운 길을 좀 더 밝은 눈으로 찾으리라..라고 말하는 책. 바로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