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어떻게 생기는지 / 반 룬의 세계사 여행>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 아기가 어떻게 생기는지 - 프랑스 과학 대중화상 지식은 모험이다 2
쥘리에트 누엘레니에 지음, 권지현 옮김, 모 부셰 감수 / 오유아이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성, 임신, 출산, .. 이런 단어들을 떠올릴때면 낯모를 부끄러움인지 수치심인지 모를 당혹스러움으로 말을 삼가게 되는 구세대다. 그래서인지 이책에서 언급되는 아기 탄생에 대한 말도 안되는 논쟁들은 어쩜 그만큼 무지한 내 의식의 세계를 반영하는 것 같아 남 얘기 같지 않았다.  

물론 책속에서처럼 아기 씨앗을 들이마시면서 자연스럽게 임신이 된다는 그정도의 허무맹랑함은 아니지만 솔직히 고등학교때까지도 남녀간에 손만 잡아도 아기가 생기는지 알 정도로 내겐 황무지같은 관심밖의 영역이였다.  

며칠전 엄마가 PC 방에 드나드느라 아이에게 신경도 쓰지 않고 게다가 하루에 한번만 분유를 줘서 아이가 결국에는 죽었다는 어처구니 없는 보도를 접했다. 그렇게 무지 할 수 있을까 싶은 거짓말같은 이야기지만 그것이 현실이다.  

과학의 발달로 아기가 어떻게 생기는지 이젠 분명하게 밝혀졌지만 이것이 끝이다라고 생각하는 그 끝이 언젠가는 또다른 시작였다는 시간이 올것이다. 한때 우리 나라를 떠들썩하게 하고 나라의 영웅처럼 거론되던 황우석 박사님이 생각난다. 처음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복제동물에 성공하고 줄기세포가 어떻고...할땐 과학에 영 무식한 나도 그게 뭔지 알아듣기 위해 꽤나 귀를 귀울였었는데.. 

이책을 보면서 우린 근본적인 것에 너무 관심이 없구나 싶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누가 무슨옷을 입는지 누가 얼마나 단시간에 다이어트에 성공했는지 내 몸에는 무슨 메이커로 치장을 할것인지 ...겉모습 꾸미기엔 관심을 두지만 내몸속은 어떻게 생겼는지 내 몸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건지...관심두는 사람은 적다.  

괜찮은 글을 봤다. 우린 아이에게 자신에게 일기의 중요성을 늘 강조하고 있다. 일기를 쓰듯 생리일기를 써보라는 글이였다. 내몸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매달 관찰하고 기록하면서 누구보다 자신의 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빠르게 알아 낼 수 있는 일기인데 방법도 간단하고 꼭 필요한 일기다 싶었다.  

이책을 보면서 아기가 어떻게 생기게 되는지 과학적으로 접근함과 동시에 아기를 가질수 있는 신비로운 우리의 몸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소중한 자신의 육체에 대한 근본적인 관심이 깊어지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