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벌레와 도서관벌레 / 육아는 과학이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도서관벌레와 도서관벌레 맛있는 책읽기 9
김미애 지음, 마정원 그림 / 파란정원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난 제목만큼이나 우리 아이들의 첫번째 고민을 재미나게 그려주었다.  

아이들에게 무엇이 가장 싫은지 물어본다면 학원가기 싫어요..공부하기 싫어요..라는 답이 가장 많이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그 아이들에게 엄마는 보호자라는 느낌보다 감시자와 끝없는 고통을 주는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을까 싶어 엄마로서 늘 가슴이 무겁고 답답합니다.  

아이들의 고충을 알기에 나만은 자연식, 방임형 교육을 시키자 다집해 보지만, 그렇게 하면서도 내 아이만  쳐지는 것 같아 불안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사이에 아이만 공중에 뜹니다. 그러다 보면 남들 하는거 하면서 마음이라도 편한쪽을 택하게 되지요. 군중속에 있을땐 소외감을 덜 느끼니까요. 

하지만 이책의 내용은 군중심리가 얼마나 어리석은지 극명하게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모두가 가는 그 길이 꼭 옳은 길만이 아니라는걸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함께 가는 그 길을 멈추기엔 너무 큰 가속도가 붙어 저항력이 만만치 않습니다.  개개인이 그 속도에 마찰력이 되어준다면 잘못된 이 길의 방향을 돌려 놓을수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책속에는 늘 2등만 하는 동우와 늘 1등을 하는 영수가 나오지요. 동우 엄마는 1등외에는 모두 꼴찌와 같다는 공식에 사로잡혀 1등을 하기 위해 온갖 문제집과 인터넷 공부 사이트 가입과 시험때면 예상 문제까지 쭈욱 뽑아주면서 내조아닌 내조를 열심히 합니다. 하지만 학원이라고는 태권도학원밖에 안다니는 영수는 늘 1등을 합니다. 학교에서도 쉬는 시간이면 친구들과 시시한 농담이나 하는 그 녀석의 1등 비법을 알아내기위해 뒤를 쫓다가 늘 도서관으로 향하는걸 알게 되고 함께 도서관에서 책을 보면서 진짜 책 맛을 알게 되는 책벌레가 됩니다. 그동안은 엄마의 요약본만 달달 외우면서 책을 제대로 읽은적이 없는 동우에게 책을 본다는것은 지긋지긋 골치아픈 일거리일뿐이였지요.  

우리 아이들이 성적, 문제, 시험을 떠나 자유롭게 책을 읽고 책에 푸욱 빠져서 책을 한번 잡으면 끝까지 읽지 않고서는 못 배기는 책 중독에 빠진다면 그것보다 즐거운 병도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누구나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은 훌륭한 사람이고 책속에 길이 있고 책을 많이 읽으면 나라도 구할수있다는 지식을 책에서 배우지만 우리의 환경은 우리 아이들에게 책은 또다른 감옥이라는게 현실이라 슬프네요. 이책은 모두의 불안감을 유쾌하게 한번에 날려주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줍니다.  

읽어보세요. 분명 속 시원해질겁니다. ~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아이들의 속내를 훤히 보여주는 모니터같은 책
    from 도라지꽃 2010-02-17 11:43 
    육아의 과학적 접근법을 소개하는 책이다.  사실 난 시어머니와 함께 살면서 전 근대적인 방법으로 아이들을 키웠다. 지금 8살 6살인데 요즘 다하는 이유식과정도 없이 그냥 어머님이 알려주시는 옛날 식으로 했다. 하지만 불만없었고 지금도 잘했다고 생각하고 그리고 그 덕분에 우리 아이들이 큰 탈없이 건강하게 자유롭게 컸다고 생각한다. 병원도 일년에 다섯손가락 꼽을까 말까 하게 가고 특별히 정신적으로도 문제를 느껴보지 못했기에 과학적 접근법을 소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