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피터 드러커>를 리뷰해주세요.
청소년을 위한 피터 드러커
이재규 지음 / 살림Friends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터 드러커 그의 책을 읽어보진 않았어도 한번쯤 그의 이름을 들어보았을거라 믿는다. 나또한 그렇다.  

표지에 적힌 빌게이츠의 구절이 사실 피터 드러커라는 인물에 대해 궁금하게 했다. 어떤 인물이기에 빌 게이츠에게 큰 영향을 준 학자일까... 

사실 경영학 전공자가 아니기에 그의 사상 모두를 온전히 이해하긴 어려웠지만 자신의 운명을 자신이 개척한 인생에 대한 통찰력은 부러웠고 자신의 주역은 자신이어야 한다는것을 말없이 보여주는 대목이 아니였나 싶다.  

읽으면서 사실 그의 어릴적 배경이 참으로 부러웠다. 일찍이 다방면에 걸친 권위자들의 이야기를 들을수있는 자연스러운 기회가 많았다는것이 ... 교수인 아버지와 의학을 공부한 어머니덕에 자주 집에서 많은 명사들의 소중한 이야기들을 듣고 그때부터 일찍이 사회를 보게 되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토대가 마련되어 있었다. 그는 죽은 뒤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가? 라는 질문에 자신의 정답을 만들기위해 열심히 살아간 인물입니다.  

독일 속담에 "선택한 자는 고통을 겪는다"라는 말이 있답니다. 편안하게 살려면 고향에 머무르는 것이 최고이지만 그는 오스트리아에서 예정된 교수의 길을 버리고 진정 자신이 가야할길인가 되물으며 오늘날의 자신을 길을 만들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사회가 지식사회가 될거라 예견하는 과정에서 그는 전공분야와 상관없는 다방면의 책을 읽었습니다. "깊이 파려면 넓게 시작해야 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그의 지식범위는 사회과학은물론 신학, 교육학, 예술 분야까지 포괄하고있습니다. 그런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입시공부때문에 다방면의 폭넓은 지식을 습득할 기회를 잃고 있습니다.   

드러커는 베른하임 백화점의 경영자인 헨리의 이야기를 통해 나이가 들어서도 은퇴하지 않고 일을 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애물단지가 되지 않고 조용히 사라지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그는 또 21세기 진정한 리더십은 휘황찬란한 공언이 아니라 성실함을 꼽았습니다.  

그는 슘페터의 임종을 비켜보면서 젊은시절  죽은 뒤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가 라는 질문에 새로운 답을 합니다. 

첫째 사람은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 바라는지 질문해야 하고 또 대답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그 대답을 바꾸어야만 합니다. 그것은 사람이 성숙해 가면서, 그리고 세상의 변화에 맞추어서 바뀌어야만 합니다.  

셋째, 자신이 인간의 삶에 변화를 일읜 적이 있는가 돌이켜 보아야 합니다. '인간의 살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야말로 드러커가 슘페터에게서 배운 진정한 교휸이였습니다.  

그가 예견한 지식사회로의 변화는 지금 발빠르게 다가왔습니다. 죽을때까지 공부해야 하는 운명. 그것이 지식사회가 아닐까 싶어요.  

청소년을 위한 피터 드러커..왜 하필 이런 제목을 정했을까. 

그의 삶을 통해 청소년이 미래 사회를 예견하고 미래의 주역이 되었으면 하는 저자의 바램이 있으리라 짐작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