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베트남 일기장>을 리뷰해주세요.
나의 베트남 일기장 생각 깊은 그림책 2
마리 셀리에 지음, 세실 감비니 그림, 전연자 옮김 / 맑은가람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입양에 관한 책을 만날때면 유명인사 차인표씨의 말이 생각나네요. 

입양은 칭찬받을 일이 아니라 축하받을 일이라고...  

유난히 자기 핏줄을 중시하는 문화때문에 입양은 아직도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꺼려하는 분위기이다. 공인들이 자연스럽게 입양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더이상 낯설지는 않아도 가끔 입양가족의 어려움이 그려진 모습들을 볼때면 그래도 내 핏줄이 낫지 하는 생각이 아직도 지배적이다.  

이 이야기는 베트남에서 태어났지만 생후 15일 정도에 버려져 고아원으로 가게되고 새로운 부모님인 프랑스 부부에게 입양 소년의 이야기이다.  

지금 부모님은 행운이라고 해도 좋을만큼 잘해주신다. 하지만 그래도 소년은 자신을 낳아준 친어머니를 그리워하고 찾고 싶어한다. 어른들은 그런 표현을 하신다. 핏줄은 땡긴다~라고.. 

그건 자신의 태생을 알고 싶어하는 본능에 가까우리라.  

소년의 부모님은 자신의 모국인 베트남을 알고 싶어하는 아이에게 최대한 구할수있는 자료를 준다. 그리고 프랑스에 오기전에 있던 수녀님에게 편지를 보내고 함께 기다려주고 위로해준다.  

소년은 답장이 오지 않자 심적으로 많이 힘들어하고 방황 한다.  

그때 이웃에 마침 베트남에서 왔다는 안느라는 친구를 사귀게 된다. 그 아이는 입양된 아이가 아니라 일때문에 부모님이랑 함께 프랑스에서 살고있는 친구다. 소년이 안느를 바라보는 마음이 어땟을까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해진다. 

안느를 통해 자신이 모국인 베트남에 대해 더 많은걸 알게 되고 동경하게 된다. 

그럴즈음에 드디어 수녀님으로부터 답장이 왔다. 

누가 자신을 고아원으로 데려왔는지 어느 마을에 있었는지 엄마는 누구인지... 

드디어 전화통화를 하면서 자신의 출생 비밀을 알게 된다.  

결국 자신의 친엄마를 찾지는 못했지만 이제 더이상 친엄마를 그리워하지도 않고 슬프지도 않다. 

자신이 버려졌을때에는 "건강하고 깨끗하며 잘생긴 아이 " 였다던 그말에 지금의 엄마의 이렇게 말씀하신다. 

" 엄마는 자신이 줄 수 있는 모든 사랑을 너에게 준 거야. 네 엄마가 할 수만 있었다면 널지켜주었을거야." 

읽고 있는 나도 그말에 마음이 편안해지더라구요. 

자신의 출생에대해 모든걸 알지 못했지만 모든걸 알아버린것처럼 이젠 후련합니다. 

이제 더이상 꿈속에서 엄마를 찾아 헤매지 않아도 되고 이세상에 자신을 존재하게 해주셨다는것만으로도 감사하게 될것입니다.  

이책과 함께 보아도 좋을책 ------------------------------ 

고래이야기에서 나온 한국에서 부란이 서란이가 왔어요!라는 책이 있어요 

우리나라 쌍둥이 자매가 보육원에서 위탁모의 손으로 그리고 다시 새 부모님 스웨덴으로가기까지의 과정이 사실적으로 그려진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입양된 후에도 진짜 가족으로 거듭나기까지의 쉽지 않은 과정도 그려져 있어요. 책 뒷면에는 또 다른 입양 이야기가 함께 있어 좀더 다양한 내용을 접할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입양되어 좋은 환경 좋은 부모님을 만난건 정말 축복받은일입니다. 하지만 꼭 좋은 양부모님만 계신건 아니기에 입양이야기는 사실 가슴이 아픕니다.  

추천하고 싶은 대상 -------------- 

우리 아이들은 왜 엄마, 아빠가 없는지, 왜 아이들을 버린는지 아직 어려서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가끔 엄마가 화나면 버린다~하며 으름장을 놓기는 하지만 녀석들이 그걸 정말 믿지는 않거든요. 

이 책들을 보면서 부모님이 계시다는건 얼마나 축복받을일인지 한번쯤 생각하게 되구요 

나오 다른 입장의 친구들이 있다는것도 알게 됩니다.  

가슴속에 남는 구절 ------------------ 

p.40  어쩌면 나는 정말 아빠 엄마의 입양 아들이 되려고 세상에 태어났는지도 모른다. 굳이 특별한 운명이라고 까지 말할건 없더라도 말이다.  

이렇게 생각한다면 양부모로서는 정말 바랄게 없을것 같다.  

가슴으로 낳은 자식이 배아파 낳은 자식 부럽지 않을것이다. 얼마나 이쁜 마음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