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기순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_마이클 샌델
(무엇이 가치를 정하는가?)

이 책은 `돈으로 사려 해서는 안 되는 것들`, `돈으로 사게 해서는 안 되는 것들`이 무엇인지 다양한 예를 들면서 돈 때문에 세상이 어떻게 변했고, 우리들 역시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 그리고 돈이 도덕, 이타주의, 인간의 생명을 어떻게 밀어내고 있는지 마이클 샌델 교수가 여실히 보여줍니다.

1. 새치기
- 돈으로 남들보다 앞서 들어가고, 사람을 고용해 줄을 세우고, 더 빨리 진료 받을 수 있는 권리

2. 인센티브
- 불임시술 장려금, 성적 우수자에게 주는 상금, 체중 감량/금연등을 통한 인센티브,
부모가 어린이집으로부터 벌금 납입시 더 늦게 아이들을 찾아가는 경향, 바다코끼리 사냥
중국의 한자녀 낳기 정책, 출산 허가증 제도, 오염권 거래 제도

3. 시장은 어떻게 도덕을 밀어내는가
- 대리사과 서비스, 선물교환의 경제적 논리, 핵 폐기장, 혈액 판매,

4. 삶과 죽음의 시장
- 청소부 보험, 말기 환금, 데스 풀, 테러리즘 선물시장, 생명보험

5. 명명권
- 스카이 박스, 광고, 머니볼,

등의 사례들을 보면서 시장주의와 상업주의가 현실세계에서 경제적 효용이라는 이유로 만연되어 오고 있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줄서기를 비롯해 재화를 분배하는 기타 비시장적 방식이 시장논리로 대체되는 경향은 현대 생활에 깊이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더 이상 그러한 현상을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한다.`라고 마이클 샌델 교수가 얘기한 것처럼 전혀 이러한 사실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고 있는게 문제이지 않나 싶습니다.

불평등, 부패 이런 것들이 자유주의 자본주의 시장주의에 의해 밀려나는 것이 돈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당연시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고 다들 너무 개인주의적 삶을 살다보니 공동체 의식이 사라졌고 그로 인해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쟁점들이 시장주의, 상업화 안에서 쉽게 지배당해온 것 같습니다. 무엇이든 돈이면 다 되는지 아는 사회속에서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 (생명, 인권, 공중도덕, 전통 등)이 무엇인지를 알고 이러한 현실을 정의, 도덕이라는 이름으로 모두가 같이 이겨보자는 의미로 이 책을 쓴 것 같습니다.

`샌델은 우리가 시장의 무한한 확장에 속절없이 당할 것이 아니라 이런 사안들이 공적 담론과 토론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우리가 그것을 허용할 것인지를 공적 검토를 통해 깊이 고민하고 서로 대화하고 합의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이것은 곧 정치의 문제다. 참된 정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적 삶의 구조를 다루는 것이며, 경제는 그러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정치는 경제를 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매개는 윤리다`라고 감수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가 스스로 지식을 쌓고 알아가면서 세상을 바꿔나가야 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