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 볼 일 없는 인생 입문 - 잉여청춘을 위한 심리 테라피
가스가 다케히코 지음, 요시노 사쿠미 그림, 황선희 옮김 / 미래의창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인생을 살아가면서 '별 볼 일 있는' 인생은 과연 몇이나 될까. 다들 평범하게 지내고 평범하게 살아간다. 어떤 것에든 의미를 두지 않으면 별 볼 일 없어지고, 아주 사소한 것에라도 의미를 두기 시작하면 별 볼일 없는 것 따윈 찾을 수 없듯이, 다들 마음 먹기 나름- 근데 이런 건 어떤 일이 있을 때만 잠깐 생각하고 말지, 계속 생각하거나 하는 것은 아니기에 그저 또 지나간다. 그리고 또 다시 평범한 삶 속에서 생활한다.
인생 테라피,라는 카피도 마음에 들었고, 현재 내가 본의 아닌 잉여인생으로 지내고 있기때문에 확 와 닿았던 게 사실이다. 잉여인생이라면 저절로 감지하게 되는 온갖 나쁜 감정들, 그것들이 별 거 아니라는 것을 알려준다기에 얼른 집어들었다. 나란 사람, 표지와 카피에 훅훅 마음이 쏠리는 좀 쉬운 사람이니까.

펼쳐 본 책의 내용은 많은 공감이 되지는 않았다. 왜 그럴까. 분명 정신과 의사가 집필한 책이고, 그가 여러 환자들을 봐 오면서 내려진 감정들의 정의같은 것인데, 왜 내겐 와 닿지 않는 것일까. 게다가 한 챕터가 끝나면 덧붙여지는 한 장짜리 만화는 상황 설명이 묘하게 다른 것 같아서 나는 혼자 고개를 갸우뚱 해야만 했다. 나는 이런 감정들을 모르나? 오죽하면 이런 생각까지 했을까.. 하지만 나도 어쩔 수 없는 사람인지라.. 이게 정말 맞는 감정인걸까,의 의문에서 점점 묘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나를 발견했다. 아마도 전혀 공감하지 못했던 챕터들은 내가 전혀 겪어보지 못했던 감정들인 것 같고, 내가 공감했던 부분들은 무의식적으로나 의식적으로나 내가 어떻게든 경험했던 부분들이었던 듯 하다.
정신과 의사인 작가는 짧게 짧게 글을 써 놓았다. 읽는데 어려움은 없거니와 공감이 되는 부분에서는 나도 모르게 헛웃음도 나왔다. 옛날 일이 생각나면서 '아, 맞아. 그때 그 감정이 이 감정이구나'라는 것도 대충 다시 느끼게 되고.
그런데, 인생에는 참 많은 감정들이 있는데 왜 작가는 굳이 이런 '부정적' 감정들의 나열을 했을까. 감정이란 것들이 원래 추상적인 것들이어서, 절대로 느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다. 그런 감정들을 굳이 찾아내서 감정에 대한 이름을 붙이는 것 자체가 어떤 치료 효과가 있는건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런 감정들을 어떻게 찾느냐?라고 내게 묻는다면, 내가 찾아서 느껴보는 것밖에는 없다고 답을 해 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살아가는 건 참 재미없고 시시한 일상의 반복인데, 거기서 찾게 되는 작은 감정들이나마 찾아보면서 '별 볼일 없는 인생' 속에서 어떤 것들을 찾아보자는 것이지 않을까.. 나는 작가의 생각을 이리 해석했다.
많은 챕터들은 아직 이해가 되지 않을 때도 있다. 그만큼 내가 아직 부정적인 감정들을 덜 느껴봤다는 의미도 되고, 조금은 재미없는 삶을 살았다는 의미도 될 테다. 어떤 감정을 마주하게 되었을 때, 이 책에서의 조금이나마의 정의가 생각나 그 감정을 빨리 알고 나를 바로잡을 수 있다면 그만큼 좋은 일이 또 어디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