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 피하기 기술 - 영리하게 인생을 움직이는 52가지 비밀
롤프 도벨리 지음, 엘 보초 그림, 유영미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행하게도 인생에는 연습이라는 것이 없다. 인생의 그 어떤 순간도 반복할 수 없고, 한 번 지나가버린 시간은 결코 되돌릴 수 없다. 우리는 무방비 상태에서 인생을 맞이하고 실수와 실패를 반복한다. 감사하게도 어릴 때의 실수와 실패는 부모가 책임지거나 보상해준다. 그리고 그 때의 실패의 경험을 토대로 처음 맞이하는 인생을 그럭저럭 헤쳐나간다. 그러나 어릴 때의 경험만으로는 결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그래서 지혜로운 사람은 앞서 간 사람의 경험과 지혜에 귀를 기울인다. <불행 피하기 기술>은 말하자면 앞서 간 사람의 경험과 지혜를 기술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제목은 부정적으로 불행 피하기 기술이라고 붙였지만, ‘슬기로운 인생을 사는 지혜라고 해도 좋을 듯했다. 아니다 다를까 책 첫 페이지 펴서 원서의 제목을 보니 “Die Kunst des guten Lebens”였다. 대충 번역하면 좋은 삶을 위한 기술이다. 아마도 직역이 너무 식상해서 제목을 좀 틀어서 붙인 것 같다.) 물론 이 지혜는 저자의 통찰에서 얻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고, 그 내용 중 어떤 것은 이미 알고 있거나 적용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실제로 이 책의 내용 중에 나도 그렇게 하고 있는 부분들도 있다. 그래서 어쩌면 저자의 주장이 더 공감이 가는 지도 모른다. 물론 저자의 내용이 무조건 진리이거나 이보다 더 나은 방법이 없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사람마다 처한 상황들이 모두다 제각각인데 모든 사람에게 다 통하는 보편적인 진리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인생을 이해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틀을 제공해주는 것은 분명한 것 같다.

 행복이란 환경과 조건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결국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저자의 주장을 아주 간략하게 주장하면  세상과 나 자신을 바라보는 시각을 조금만 바꾸면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다. 그렇다면 세상을 보는 내 시각을 바꾸어야 한다. 내 자신을 바꾸는 것도 어렵다. 그렇다면 자신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정글과 같은 치열한 생존 경쟁인 이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것이 사실은 자신을 죽음의 늪으로 빠져들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앞만 보고 달려가지 말고 지금 내가 과연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세상과 자신을 조금 더 느긋하게 바라보며 관조하는 것이 행복을 누리는 비결일 것이다.

 저자는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일상의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게 하고 그 속에서 행복을 찾는 방법을 알여주고 있다. 좀 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지혜를 구하고 있다면, 주저없이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다. 특별히 자신을 돌아볼 틈 없이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20-30대에게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