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백과사전을 읽는다 - 오래된 지식의 숲, 이수광의 지봉유설
이철 지음 / 알마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조선의 백과사전을 읽는다>는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을 중심으로 조선 시대의 학문과 문화 그리고 사회상을 그린 책이다.

 저자의 집필 동기는 아마도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을 소개하는데 있다기 보다는, 조선의 실상을 보여주는데 더 큰 목적이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 저자는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조선 시대의 백과 사전이라 일컫는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을 재료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지봉유설도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고, 사회의 모습도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저자의 주요 관심사를 몇가지 테마로 분류하여 그 테마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엮어 나가고 있다.  이 점이 이 책의 장점이자 또한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한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다 소개한다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그래서 한가지 혹은 몇 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한 몇백년 전의 모습을 묘사하는 것은 그 엄밀성에서 한계가 있다. 그래서 당시의 가장 믿을 만한 문헌을 중심으로 엮어가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 있어서 이 책은 조선 시대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아주 좋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방법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성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다루고 있는 주제가 적은 것은 당연히 인정해야 하지만, 저자의 관심과 관점에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이 얽매이게 된다는 점이 한계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저자가 이미 가지고 있었던 관점을 강화하는데 지봉유설 등이 인용되거나 혹은 저자의 관점으로 이 책들의 관점을 비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이 임진 왜란 당시의 명나라 장수의 공로를 크게 치하하고 있는 부분은 중화중심적 사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이다. 물론 우리가 배운 역사는 이순신 같은 명장과 전국 팔도에 일어난 의병으로 인해 왜병을 불리쳤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배운 역사가 오히려 국수주의적 입장을 반영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지 않을까? 오래 전 어느 티비 프로그램에서 임진왜란은 사실상 조선의 승리라고 평가하는 내용을 본 기억이 있다. 수십만명의 백성이 죽어나가고 대부분의 성읍이 폐허가 되었는데 사실상 승리라니, 참으로 괴변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저자가 이렇게 주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수광이나 이익의 평가는 중화중심적 사관에서 비롯되었다기 보다는 절체절명의 위기의 국가에서 명나라의 도움은 절대적이었기 때문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평가했다고 볼 수는 있지 않을까? 이것은 마치 625사변의 전세가 바뀐 것은 맥아더 장군 덕분이라고 말했다고 종미주의자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 625사변 때 유엔군의 도움과 인천상륙작전이 아니었다면 과연 북한을 이겨낼 수 있었을까? 비록 수많은 군인과 학도병이 희생을 당하고, 그들의 공이 큰 것은 인정하더라도 유엔군의 도움과 맥아더 장군의 업적을 평가 절하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 같다.  그렇게 말하는 것은 국수주의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당시의 역사적 정황을 면밀히 분석하면 저자의 의견이 옳을 수도 있을 것이다. 말하고자 하는 요점은 지봉유설을 통해서 조선의 모습이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저자의 관점을 강화 혹은 반박하는데 지봉유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점은 이 책의 문제만이 아니라 모든 역사와 사회 과학 책의 문제이기도 하다.

 

 요즘 학교의 국사 교육 문제는 심각할 정도로 후퇴되고 있다. 90년대 후반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누구인지도 모른다고 한다. 참으로 우려할 만한 상황이다. 이런 시점에서 <조선의 백과사전을 읽는다>는 옛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우리의 역사를 일깨워 주는 소중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학생을 비롯해서 교양 인들에게 일독을 권할 만한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