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 연결 시대 - 일상이 된 인터넷, 그 이면에선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윌리엄 H. 데이비도우 지음, 김동규 옮김 / 수이북스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과잉 연결 시대>는 오늘날의 여러 사회 문제의 원인을 과도한 상호 연결성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사회의 여러 요소들이 지나치게 밀접하게 연결되게 되면 미처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파괴적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것을 ‘연결과잉(overconnectivity)’문제라고 부른다. 저자는 자신의 이론의 근거를 유진 위그너와 로스 애슈비에서 찾고 있는데, 그것은 “모든 거대하고 복잡한 동적 시스템의 연결성은 임계점에 이를 때까지만 안정적인 특성을 보이며 이후 연결성이 커질수록 급격한 불안정 상태에 이른다’는 것이다.


연결과잉이 문제가 되는 것은, 각각의 요소들이 복잡하고 밀접하게 연결되면 될수록, 한 부분에서 발생한 문제가 미처 대응하기도 전에 다른 부분에 빠르게 전달되고 그것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결국은 통제불능의 상태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과잉은 포지티브 피드백에 의해 강화된다. 포지티브 피드백이란 하나의 변화의 결과가 또 다른 변화를 부추기거나 강화시킨다는 것이다. 저자는 포지티브 피드백에 의한 끔직한 재앙의 예로 뉴올리언스에 불어닥친 허리케인 카트리나를 들고 있다.

원래 뉴올리언스는 원래 범람이 잘되는 곳인데, 범람을 막기 위해 제방을 쌓아 올렸다. 덕분에 사람들이 정착하게 되었는데, 제방에도 불구하고 홍수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를 막기 위해 더 많은 제방, 더 높은 제방을 쌓았다. 제방 건설과 홍수가 반복되는 동안, 도시가 살만한 곳으로 인식되고 인구 유입은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다가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말미암아 2천명의 사망자와 800억 달러의 손실을 입게 되었는데 이를 카트리나 효과라고 한다. 즉 제방이라는 임시변통의 해결책이 포지티브 피드백을 이루어 인구 유입이 일어나고 이것이 또 다른 포지티브 피드백을 하게 되어 더 많은 제방을 쌓는 식이 되어, 엄청난 재앙을 몰고 오게 된 것이다. 물론 포지티브 피드백이 꼭 나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계속된 포지티브 피드백은 결국 통제불능의 상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포지티브 피드백에 의한 연결과잉이 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사례는 1979년 3월에 일어난 원자력 발전소 사고다. 이 사고의 원인은 냉각수를 거르는 필터가 막히는 아주 단순한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 이 문제는 놀라울 만큼 복잡한 상호 작용을 불러 일으켜, 결국 통제실의 1600개의 제어 표시등 중 상당수를 깜박이게 했다. 당연히 문제의 원인을 파악못해 상황을 더 악화시켜 최악의 상황으로 치다르고 있었다. 다행히 기술자의 현명한 조치로 상황을 통제했지만 방사능 누출 사고로 이어질 뻔 했다.

연결 과잉이 가져온 문제는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그 규모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때로 이로 인한 파급효과는 상상을 초월한 대규모 재앙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1987년 10월 14일부터 일어난 미국 주식의 폭락이었다. 4일간 무려 주식의 25퍼센트의 증발해 버렸다. 그런데 그 원인은 포트폴리어 인슈어런스라는 아주 작은 프로그램에 의해 시작된 것이다. 최근의 리먼 브라더스 사태도 모두 연결 과잉이 빚어낸 최악의 부산물인 것이다. 
 저자는 비록 연결 과잉이 긍정적인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가져오는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저자의 논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현재 우리 사회는 통제 할 수 없을 정도로 지나치게 과잉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인류에게 더욱 더 큰 재앙을 안기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 파국을 막기 위해 몇가지 해결책을 제시한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저자의 해결책은 비록 그것이 옳음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이고 피상적이다. 저자의 해결책이 제안이 실제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것은 그 제안을 적용하기에는 이미 통제 불능 상황에 와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모든 것을 규제하고 조정하던 시대는 끝이 났다. 과잉 연결을 고도 연결 사회로 돌려놓기에는 개인들이 이미 과잉 연결에 너무 익숙해져 버렸다. 또한 오늘날은 정부보다 기업의 힘이 더 큰 시대이다. 과잉 연결은 자제하는 것은 비용의 증가와 매출의 감소를 의미한다. 생존 경쟁의 시대에 어느 기업이 과연 이러한 무모한 일을 하겠는가? 저자는 과세를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정치인에게 과세란 뜨거운 감자이다. 경제학자들은 이 논쟁에 더욱 불을 지핀다. 정부는 정치인들에 의해 움직여지고 정치인은 국민들의 표를 의식한다. 저자는 이 연결 과잉을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문명이 퇴화하지 않는 이상 이것을 통제할 수단은 없어 보인다.



저자에 동감하는 점은, 인류는 지금 통제 불능의 시대에 와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대안을 제시하지만 내가 보기에 인류의 미래는 비관적이다. 인류는 멈추거나 속도를 줄이면 넘어지는 외발 자전거를 타고 있다. 쓰러지지 않으려면 더 빨리 달리는 방법 밖에 없다. 그리고 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마침내 파멸하게 될 것이다. 너무 비관적이라고?... 그래도 내 시대는 아직은 달릴 여력이 더 있다고 믿고 안심하고 있다. 후대에는 미안한 일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