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물리학 - 한스 그라스만
한스 그라스만 지음, 이정모 옮김 / 사계절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저자는 물리학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으로 이 책을 쓰고 있습니다. 저자는 다소 긴 서문에서 물리학에 대한 그의 신념과 어리석은 관료와 정치가들이 물리학의 발전을 얼마나 가로막고 있는가와 그리고 그것이 결국 보다 나은 세상을 가로막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지를 역설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 책 전반에 흐르고 있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이로 보건데 이 책은 단순히 물리학 이론을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기보다는 물리학이 우리의 삶과 얼마나 밀접하며 얼마나 유용한가를 설명하는데 더 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렇지만 또한 물리학을 가능한한 쉽게 설명하려는 의지가 녹아나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가 믿는 바로는 물리학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물리학이 발전하면 할수록 물리학 이론은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물리학이 얼마나 쉽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직접 실증하고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운동과 힘의 법칙에서 시작해서 과감하게 상대성이론과 양자 역학으로 설명을 뛰어넘고 있습니다. 저자는 단지 수십 페이지의 분량만으로 인류가 지금껏 이룩해 놓은 물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모두 설명해 내고 있습니다. 그리고는 아주 생소한 정보물리학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보물리학에서는 정신 생명이라는 어떻게 보면 철학적으로 보이는 내용을 물리학적으로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저자는 물리학은 쉽게 이해가능한 것이고 그래서 가능한 한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사실 이 책을 따라가기란 쉽지 않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책에서 내가 읽을 수 있었던 하나의 메시지는 물리학은 철저히 인간을 위한 것이며 인간적이어야 한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저자의 주장이 얼마나 옳으며 또 유용한가와는 별개로 이 점이 내 마음에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과학에 대해 염려하는 철학자들(주로 윤리학자)은 흔히 과학은 브레이크없이 달리는 자동차와 같다고 비교합니다. 과학자들이 그 과학이 인간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생각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연구하는 것에 대한 경고이지요. (그리고 실제로 과학이 인간과 자연을 파괴하는 것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저자는 물리학자로서 물리학에 근거해서 철학자들과 비슷한 경고를 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주장을 모두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물리학이 이런 방향으로도 발전할 수도 있구나라는 것이 아주 이채로웠습니다. 아마도 저자의 이론이 보편화되고 더 발전 연구 된다면, 이 세계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곳으로 바뀌어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마 그것이 저자의 바람이기도 하겠지요. 하지만 저자의 주장이 과연 보편화되기보다는 그냥 소수의견으로만 남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것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고 있는 그런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 때문일 것이고, 그리고 그 시스템이 바뀌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일테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