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아들이 꿈꾸는 최고의 아빠
스콧 앤더슨 지음, 문세원 옮김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좌충우돌 아빠의 최고 아빠되기 프로젝트

아빠가 된다는 것은 중요한 일임에는 틀림없다. 
아빠가 되는 것은 인생의 가장 큰 짐 중의 하나이고 또 가장 보람된 일 중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도, 사회에서도 좋은 아빠가 되는 법을 알려주지 않는다. 덕분에 너무나 많은 아빠들이 불량 아빠로 살아가고, 불량 아빠 밑에서 자란 아이들이 커서 똑같이 불량 아빠가 되어간다. (요즘은 그래도  "아버지학교"처럼 아빠의 역할을 가르쳐주는 단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은 무척이나 다행한 일이다.)

 정직하게 말하건대, 나도 불량 아빠이다. 아빠로서 낙제점이다. 저자가 알려주는 좋은 아빠의 모습 하나 하나가 내 폐부를 찔러들어 온다. 돌이키기에 너무 늦은 것은 아닐까? 지금껏 까먹은 점수를 만회하려면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할까?... 지레 겁을 먹는다..
 한가지 다행스러운 것은 저자 역시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어왔고 또 겪고 있으면서도 좋은 아빠로 서있다는 것이다. 보통의 책들은 언제나 성공사례들만을 이야기한다. 이렇게 하고 저렇게 하면 반드시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저자는 실수하고 잘못한 이야기들을 더 많이 한다.  아이들 앞에서 어쩔줄 몰라하는 모습... 저자도  나와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있구나.. 위를 받는다.  아빠로서 너무나 서툴지만.. 나도 좋은 아빠가 될 수 있겠구나...생각한다.

 저자의 말 중에 가장 큰 공감이 되었던 부분은 좋은 아빠가 될 것이라는 분명한 목표와 비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생의 모든 것이 그러하듯, 내가 왜 훌륭한 아빠가 되어야 하는지, 훌륭한 아빠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그림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내게 참으로 필요했던 가르침이었던 것 같다. 나는 좋은 아빠가 아니라는 죄책감만 있었지, 좋은 아빠가 되어야겠다는 그림은 그리지 못했던 것 같다. 좋은 아빠라는 분명한 비전을 가지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하나 하나 준비해 간다면 분명히 좋은 아빠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좋은 아빠뿐만 아니라 인생의 모든 것에 이 원리를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남편, 좋은 이웃, 좋은 상사...., 내 인생의 모든 역할에 이 비전의 적용하며 나간다면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내게 가장 찔림이 되었던 부분은 신뢰의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잘 들어주어야 하고, 잘 놀아주어야하고, 잘 이해해주어야 한다.  자녀는 어릴 때에는 좀 엄하게 키우고 성장한 후에 풀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칭찬보다는 꾸지람을 더 많이 했고, 아이의 처지를 이해하기 보다는 이상만을 강요했던 것 같다. 아마도 이 때문인지 두 아이 모두다 평상시에는 이야기를 잘하지만 속상한 일이 있을 때, 혹은 잘못해서 혼날 것 같은 일에는 말문을 완전히 닫아버린다.. 아이가 그렇게 행동할 때마다, 내가 너무 잘못했구나라는 후회와 자괴감이 몰려들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라고 했다..., 불량아빠로 살아왔던 나날들을 이제는 뒤로하고 좋은 아빠의 비전을 품고 한 걸음씩 전진하자고 다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