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가지 사랑의 언어
게리 채프먼 지음, 장동숙 옮김 / 생명의말씀사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일찍이 에리히 포름은 사랑은 배우고 익혀야할 기술이라고 이야기했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사랑은 가슴 한 쪽에서 솟아오르는 좋은 감정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아니 엄밀히 말해서 그것은 사랑이라고 할 수 없다. 사랑이란 한 인격체와 다른 인격체를 묶어주는 가장 긴밀한 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끈은 우리의 의지와 결단에 의해서 강해질 수도 있고 느슨해지기도 하며 심지어는 끊어질 수도 있다.
게리 체프만의 ‘5가지 사랑의 언어’는 바로 이 끈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저자는 먼저 사랑에 대해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진정으로 사랑하려면 감정에 사로잡히는 것이 아니라 이성과 감성을 연합시켜 주며, 의지에 따른 행동을 내포하고 훈련과 성숙이 요구된다고 말한다.
그런데 사랑을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방식이 사람마다 다르다고 이야기 한다. 각 민족마다 언어가 다르듯, 사람들마다 사랑을 소통하는 언어도 다른데, 그 언어들을 종합해보면 크게 5가지로 집약이 된다고 한다. 표출하는 방식이 사람마다 조금씩 다 다를지라도, 다섯가지 언어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함께하는 시간, 선물, 육체적인 접촉, 인정하는 말, 봉사’이다.
부부가 서로 갈등을 겪는 이유는 배우자에게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여기는 이유는 실제로 배우자가 사랑하지 않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나와는 다른 사랑의 언어로 전달하기 때문이다. 어떤 이는 그저 ‘함께 하는 것’만으로도 사랑받고 있다고 여긴다. 그런데 ‘함께 하는 것’보다 그냥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배우자라면 그는 사랑받지 못한다고 여길 것이다. 어떤 아내는 자기의 일을 도와 줄 때(봉사) 사랑받고 있다고 여긴다. 그러나 남편이 부인의 일을 도와줄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다면 (남편은 아내를 사랑하지만 아내의 할 일과 남편의 할 일은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내는 남편이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것이다. 배우자에게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게 되면 뜨거웠던 사랑은 식어져가고 결국 부부사이에는 금이 가게 된다.
 
사랑은 그래서 희생과 섬김이 요구된다. 사랑의 언어가 다르다는 것은, 다른 사랑의 언어를 배워야 함을 내포한다. 어떤 이에게는 바쁜 직장생활 때문에 배우자와 함께 하는 시간이 힘들 수 있다. 어떤 이에게는 따뜻한 말을 하는 것이 어색할 수 있다. 그러나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자신의 습관을 내려놓고 상대방의 사랑을 채워주기 위해 그 언어를 배워야할 것이다.
 
한국 사회에 이혼율이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는 정말 문제가 있는 부부도 있겠지만, 상당수는 어떻게 사랑해야하는지 어떻게 결혼 생활을 유지해야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파국을 맞는 부부도 상당히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 부부들에게 이 책은 실제적인 치료책이 될 수 있다.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결혼 생활에 권태기를 느끼는 많은 부부들에게 이 책을 꼭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