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아주 재미있는 소설을 읽었다.  광고 카피도 자극적이고, 소재도 발칙(?)하고 재미있다. 무엇보다도 글이 막힘이 없어 술술 읽혀진다. 어떤 소설들은  나름 섬세함을 보여준답시고 시시콜콜한 내용까지 세밀하게 묘사함으로 글의 흐름을 깨거나 지루하게 만드는데, (얼마전에 그런 소설을 읽었는데 읽다가 중간에 포기했다) 이 책은 그런 류의 소설과는 거리가 멀다. 어떻게 보면 통속 소설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일단 글을 읽히기 위해 쓰여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쉽게 읽혀지는 글이 일단은 좋은 글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일단 합격이다.  문체는 담백하고 현대적 감각도 잘 드러나 있다.
이 책은 축구와 결혼이라는 별로 연관성없어 보이는 두 소재를 절묘하게 엮어 놓았다. 축구를 결혼에 대입시켜서 주인공의 삶을 해석하고 투영시키고 있다. 축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유럽 프로 구단의 이름이라든가 리그는 잘 모른다. 축구 선수는 유명선수의 이름외에는 아는 것이 없다. 그래도 읽는 재미가 솔솔하다. 그냥 소설만 읽다보면 저자는 축구에 대해서 아주 해박하구나라고 생각하게 되는데 저자의 변은 자기는 축구 전문가도 마니아도 아니란다. 그럼 마니아는 도대체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일까? ㅡㅡ,

덕훈(주인공)의 아내는 인아는 또 다른 남자( 재경)을 사랑한다. 단지 딴 남자가 생긴 것이 아니라 두 남자 모두를 사랑한단다. 그리고 두 남자 모두와 결혼하기를 원한다. 덕훈은 아내에 푹빠져있어서, 아내의 말도 안되는 제안에 항복한다.  그리고 두남자와 동시에 결혼한 한 여자의 기묘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저자는 폴리가미(다부다처제)란 다소 파격적인 소재를 들고 나왔다. 수년전 김용옥교수가 모노가미가 그리 오래된 제도가 아니며 우리나라도 고대사회가면 폴리가미가 흔했다고 주장하던 강의가 떠오른다. 책 중간에도 김용옥교수가 떠들던 말과 비슷한 내용이 나온다.  우리 사회는 암묵적으로 이미 폴리가미 사회인지도 모른다. 어떤 의미에서 일부일처제는 이미 무너져있는지도 모른다. 저자는 폴리가미를 화두로 던지면서도 계속해서 모노가미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문뜩 문뜩 우리가 한 번 쯤 생각해보아야할 중요한 화두들 던지기도 한다.

결혼이란 무엇일까? 왜 인아는 동거도 아닌 결혼에 집착을 했을까? 남자가 두 살림을 차리는 이제껏 흔히 있어와서 있을 법한 일이라고 받아들이면서 여자가 두 살림을 차리는 것은 색다르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그것이 가능할까라고 생각하는 내 자신을 보면서 나도 어지간히 편견해 사로잡혀 있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덕훈은 왜 바보처럼 인아를 떠나지 못했을까?라고 생각했는데, 따지고 보면 남녀가 바뀌었다면 얼마든지 이해가능한 것이었다. , 즉 남자가 두 여자와 결혼해서 사는데, 두 여자 모두 남자를 떠나지 못하는 이야기였다면 하나도 이상한 이야기로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이다.

소설은, 일단은 재미있어야 한다. 이 책은 일단 재미있다. 그리고 소재도 진부하지 않고 우리의 삶을 다른 각도에서 반추해보게 한다는 점에서도 합격점이다. 이모조모 1억 고려 수상작 답다는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