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일단 제목에 마음이 끌렸다.  사람 풍경이라.. 풍경이라는 단어는 전시라는 비슷한 단어이지만 그 늬앙스는 사뭇다르게 느껴진다. 전시는 인위적이고 기계적인 느낌이지만 풍경은 자연스러움을 내포한다.

사람 풍경이란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  각양의 삶의 정취를 나타내는 의미가 아닐까? 사람이 사람으로서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사람이 풍경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자각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사람이 풍경이 될 수 있음은 관조할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 저자는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의 테두리에서 이러한 관조를 배우게 된 것 같다.
책 제목과는 조금은 다르게 사람 풍경을 묘사하기 보다는 사람 풍경을 분석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이쯤디면 풍경이라기 보다 전시라는 말이 어울릴 수도 있다. 이것이 이 책이 가진 묘한 매력이다. 사람 냄새를 그리는 듯 하면서도 어느새 분석을 하고 있고, 이 둘이 때로는 절묘하게 때로는 어색하게 조화를 이루어 내고 있다.
사람이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은 무척이나 힘들고 어려운 일이다.  자기자신을 아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 중의 하나가 바로 정신 분석이고 심리학이다. 그런데 이 정신 분석의 한계점이 있는데, 그것은 사람을 기계적으로 분류하려고 시도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특별히 프로이드에게 강하다. 융은 사람 자체를 보려는데 주안점이 있지만 프로이도는 보다 기계적으로 사람을 분석하려고 든다.
김형경씨의 글을 보면 융보다는 프로이드의 냄새가 강하게 배여 있다(라깡은 솔직히 잘 모른다. 하지만 그의 전반적인 기조에 대해서는 싫어한다. 라깡이 얼마나 배여있는지는 모르겠다) 프로이드를 싫어하는 편이라서 때로, 저자의 글이 불편한 부분이 있다. 저런 식으로 현재의 모든 일을 합리화하는 것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람 풍경'은 '일상을 통해서 본 정신 분석의 적용편'이라는 부제를 달아도 좋을 듯하다. 나의 일상이라는 것이 한정되어 있고 따라서 만나는 사람이 한정되어 있는 터라, 정신 분석의 장르들을 다양하게 적용하기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김형경씨는 여행이라는 보다 넒은 장을 통해 자신이 배우고 도움을 받은 정신 분석을 활용하고 있다. 사람들이 왜 저렇게 행동하는가? 아니 왜 저렇게 행동할 수 밖에 없는 가를 이해하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이해는 관용을 낳고 관용은 사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주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이나 심리학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은 그것을 이해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한 것에 생소한 사람이라 할 지라도, 저자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에는 그 속에는 필연적인 혹은 불가항력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할 때 우리는 사람을 즐길 수 있지 않을까?

사람이 풍경으로 보여진다면, 이 세상을 조금 더 즐겁고 기쁘게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은 딱딱한 정신 분석이라는 도구를 조금 더 부드럽게 가깝게 접근할 수 있게 해 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