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필요한 순간 - 인간은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
김민형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때 피타고스라스의 정리 및 증명에 관한 내용을 배우고 수학의 매력에 흠뻑 빠졌던 적이 있다. 수학은 정말 매력적인 과목이라 생각했다. 그 후 대학원 때 우연히 말 그대로 수학천재를 만난 적이 있다. 그 분은 세상 모든 것이 다 수로 보인다고 했다. 그분이 가진 재능을 보고서 참 놀라왔는데, 10여년 전 넘버스(numb3rs)라는 미드를 보면서, 정말로 세상 모든 것들을 수학으로서 표현하고 해결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라는 책을 보고서 이런 옛 일들이 떠 올랐다. 이 책은 수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펼치고 있는데, 수학이 우리 삶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수학이 과학과 문명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재미있게 풀어나가고 있다.
저자는 물리와 수학의 밀접한 관계성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페르마의 정리부터 뉴턴에서 상대성이론까지 수학으로 말미암아 과학이 발전했음을 흥미롭게 풀어나가고 있는데, 수학으로 접근하니 오히려 물리가 새롭게 보였다. 그런데 보다 놀라운 것은 수학이 각종 사회현상과 윤리적 문제에도 연관된다는 것이었다. 고전적인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문제도 확률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고 민주주의도 수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를 가장 놀랍게 한 것은 짯짓기에 관한 게일 섀플리 이론이었다. 이 이론은 학생들에 수학적 사고의 예시를 위해서 수학 교육 저널에 실렸던 내용이었는데 이 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고 것이었다. 심오하고 복잡한 수학공식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초등학생들도 이해할 수 잇는 비교적 단순한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노벨상을 받았다는 것이 놀라웠다. (그래서 이 이론이 경제 이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던 것이 조금 아쉬웠다)  오일러의 수에 대한 설명은 마치 마술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오릴러가 없었다면 인공위성도 스마트폰도 없었을지 모른다고 생각하니 참 대단한 수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
 이 책의 마지막은 철학적 질문으로 마치고 있다. 고등학교 때 코스모스를 읽고서 이론 물리학 책을 열심히 읽었던 적이 있는데, 물리학자들의 궁극적인 질문이 결국 철학의 문제로 귀결되는 것을 보고 아이러니하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어렵고 복잡한 최첨단 이론 물리학이 25백여년전 그리스 철학에서 채 한걸음도 못나간 것이 어쩌면 인간의 인식의 한계일지 모른다. 수학도 우주의 궁극적인 원리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물리와 비슷하게 답을 내릴 수 없는 철학적 질문으로 귀결되는 것이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오랜만에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중고등학생들이 읽어도 좋고,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적으로도 괜찮은 책 같다.

https://blog.naver.com/lhjwy/221333711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