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14 세계경제의 미래]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2013-2014 세계경제의 미래
해리 S. 덴트 & 로드니 존슨 지음, 권성희 옮김 / 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놀라움 자체다. 지금까지 쌓였던 경제학의 비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한 번에 사라졌다. 역시 경제학도 관점의 차이가 중요하다. 세상이 변화하면 학문도 변해야하지만 유독 변하지 않고 고리타분한 수치놀음에 빠져있는 학문이 경제학이 아니었던가? 경제학은 스스로를 파괴했다. 지금껏 단 한 번도 위기징후 조차 파악하지 못했다. 그런데도 대중은 경제학에 너무 과분한 배려를 해주었다. 경제학은 가치를 잃기 전에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여야한다. 대중의 법칙을 찾는다는 사회과학의 일부분으로 본래의 목적에 충실 한다면 이는 더욱 의미 있는 관점이 될 것이다.

 

그동안 경제학은 금리와 통화량을 통해 얼마든지 거시경제를 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위기 후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재정정책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미국은 3차례의 양적완화를 통해 경기회복을 시도했으나 여전히 소비는 제자리걸음이다. 오히려 몰락한 중산층들은 빚을 갚기 위해 저축을 늘린다. 금리 역시 사상 최저다. 금리를 떨어뜨리고 돈을 푼다는 것은 결국 소비를 확산시키기 위한 최후의 재정정책인데 시장은 아무런 반응이 없다. 미국이 처한 딜레마는 주류경제학으로선 도저히 작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러한 시점에 HS덴트 연구소의 헤리덴트의 경제학적 분석이 관심을 끈다. 그는 경제의 큰 방향을 결정짓는 것은 사람들의 소비결정이라 주장한다. 즉 대중은 외부변화와는 무관하게 자신의 상황에 따라 소비를 하게 되며 돈을 푼다고 더 많은 소비를 하는 것도 아니고 돈이 부족하다고 소비가 줄어드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대중은 필요에 의해 소비를 한다. 그런데 미국 인구의 소비정점이 2005년을 중심으로 하락세에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전후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와 맞물려 미국에 큰 위기를 가져왔다. 마찬가지로 빠르게 고령화 되어가는 중국 역시 조만간 경착륙을 경험할 것이라 예측한다.

 

덴트는 더욱 충격적인 예언(?)을 한다. 양적완화 덕분에 잠시 오른 다우지수가 50%이하로 폭락할 것이며 잠시 주춤하고 있는 부동산 역시 오르기 전 가격으로 떨어질 것이라 예측한다. 그는 현재 미국 경제의 상황을 네덜란드 튤립파동에 비견한다. 대공황과는 비교할 수 없는 디플레이션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모든 자산 가치를 떨어뜨리는 디플레이션은 정부로서는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이 연출되는 경우다. 값싼 인플레이션을 통해 부채를 탕감해온 정부의 재정은 만신창이가 될 것이며 서민들은 유례없는 고통에 휩싸일 것이다. 미국이 단순히 천문학적인 부채를 해결해야한다는 관점에서 재정정책을 풀려고 한다면 위기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인구의 노쇠화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를 이해하고 통제하는 것이다

 

저자는 미국의 대안으로 손꼽히는 중국에 대해서도 일찍이 본적이 없는 경고를 퍼붓는다. 중국 부동산은 일인당 GDP대비 500%이상 폭등한 상황이며 지자체들의 무분별한 난립공사로 유령도시들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심각한 빈부의 격차는 중국 공산당에 위기감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가파르게 성장한 중국 역시 소비의 정점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버블이 끝나는 시점이 멀지 않았다. 그렇다면 덴트가 바라보는 한국경제의 미래는 어떨까?

 

덴트는 2~3년 내 한국 코스피지수 역시 1000선이 무너지고 심각한 경제위기에 봉착할 것이라 주장한다. 연착륙이 진행되는 아파트 가격이 여전히 부담스러운 가운데 민간과 공기업부채 해결이 결코 쉽지 않을 것이며 이 역시 빠르게 소비의 결정 인구가 노쇠화 되어 새로운 위기가 조성될 것이라 예측한다. 특히 한국은 2000년대 이미 도시집중화가 완성되어 더 이상의 성장이 어려우며 중국과 미국 의존도가 너무 높아 두 국가의 몰락과 함께 심각한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을 예견한다. 새 정권이 출범하기도 전에 나온 절망적인 경제예측이라 심란하기만 하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이 있다. 분명한 변화가 관측되는데 아무런 준비도 하지 않는다면 소는 물론이고 외양간마저 잃을 것이다. 작금의 세계경제에 아군과 적군이 존재할까?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수단과 방법이 통용되는 세상이다. 최근 원화가치의 상승을 바라보는 한국경제 수장들의 마음은 어떠할까? 유독 위기에 취약한 한국경제를 넘실거리는 파도위에 떠있는 조각배에 비유한다면 너무 심한 표현인가? 그 위에 타고 있는 국민들의 마음은 어떠할까? 그나마 다행이라면 덴트의 예언(?)10년 후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위기극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이다. 다가오는 디플레이션 시대,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는 주된 요인은 무엇이고 이를 통해 과연 어떤 변화가 다가올 것인가? 독특한 덴트의 관점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1-21 09:4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