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000일 후의 세계 - 모든 것이 AI와 접속된 ‘미러 월드’의 시대가 온다
케빈 켈리 지음, 오노 가즈모토 엮음, 김윤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6월
평점 :
절판
5000일 후의 세계, 모든 것이 AI와 접속된 미러 월드의 시대
5000일 후의 세계
케빈 켈리 지음, 오노 가즈모토 엮음, 김윤경 옮김, 한국경제신문사 펴냄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다. 10년이 뭐야, 엄청난 속도로 세상이 휙휙 바뀌고 있다. 어느 정도 나이를 먹고 나서부터는 더더욱 그걸 실감한다. 아이들이 나누는 대화를 따라 가기 힘들고 매체 등에서 핫이슈로 다루는 것들을 이해하기도 힘들다. 이러다가 디지털 문맹자가 되어 쓸모없는 존재로 전락해 한구석에 처박혀 있게 되는 건 아닐까, 하는 막연한 두려움마저 자꾸 나를 자극한다. 인터넷이 상용화된 지 약 5,000일, 햇수로 치자면 13년이 지나자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했다고 한다. SNS다. 그리고 지금 그때부터 또다시 5,000일이 지났다. 이제 뭔가 새로 나올 때가 된 것이다. 그게 뭘까? 미래 예측자 케빈 켈리는 '미러 월드'라고 말한다. 모든 것이 AI, 즉 인공지능과 접속되어 디지털과 융합한 세계에서 탄생한 AR, 즉 증강현실 세계. 미러 월드!
테크놀로지에 귀를 기울이면 미래를 알 수 있다.
실제 생활 공간이 아닌 가상의 공간, 어딘가에 존재하는 플랫폼에서 우리는 텃밭을 가꾸고 동물을 키우고 휴가를 즐긴다. 이것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여기는 자들은 정말 대단하다 싶다. 나는 그들이 창조한 세계에 아직 진입도 못했는데 그들은 다음 버전을 생각하고 있으니 말이다. 새로운 플랫폼이 약 13년의 주기로 나오고 인간의 수명을 100세로 보자면, 총 7번의 13년과 9년이 지나갈 동안 8번의 플랫폼을 마주할 것이다. 아기 때야 뭐 치고 말고 할 게 별로 없어 보인다만, 앞으로의 세상은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를 일 아닌가. 플랫폼의 주기 역시 빨라질 수 있으니 여튼 평균적 수치인 8번의 플랫폼 중 나는 몇 개의 플랫폼에 적응해 살아갈지가 관건이겠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답은 바로 내가 얼마나 '테크놀로지'를 가까이 하느냐에 달렸다.
전 세계 100만 명이 가상 공간에서 함께 일하는 세계
동시에 100만 명이 한 군데서 함께 일하는 것은 과연 가능할까? 가능하다. 이때 현재는 없는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겠다. 예컨대 AR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글라스 같은 것 말이다. 이로써 서로 다른 공간에서 공동 작업을 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난다. 장소며 국경을 초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황이 매끄러우려면 새롭게 제안된 아이디어를 채택해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발안자에게 대가를 지급하는 환원 제도, 실시간 자동 번역 기술, 자율 주행 관련 산업 등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교류하며 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것은 AR 세계인 미러 월드를 향하고 있다. 꼭 한자리에 모여 앉아 일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현실 세계에서는 각자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있지만, 동시에 다른 장소에 있는 사람들과 지구 크기의 가상 세계를 함께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미 줌, 구글 미트 등 비디오 희의 시스템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지 않
그런데 이러한 미러 월드는 우리에게 마냥 유용하기만 할까? 질문의 의도에 답이 있다. 당연히 아니다. 미러 월드에서는 성공을 거머쥐는 작은 개발 회사가 많이 생겨날 것이니 새로운 기회의 관문일 수 있겠지만 한편 그것을 사용해야만 하는 사용자는 쉽게 착취당할 수 있다는 맹점이 있다. 우리는 이제 결재하지 않으면 접속도 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를지도 모를 일이다. 어쩌면 우리 사회를 감시 사회로 만들고 인간의 기계화를 향해 달리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다. 이에 대해 케빈 켈리는 매년 테크놀로지를 재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미러 월드의 기술에 대해 두려워할 필요는 없지만 감시하고 관심을 가져야 하며 또한 능숙하게 다뤄야 한다는 것이다.
진정한 해결책은 더 좋은 테크놀로지를 더 많이 만드는 일
지금 세계를 좌지우지하는 페이스북이나 구글은 세월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건재할까? 거대기업은 국가적 필요에 의해 해체될까? 혹시 개인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관리하는 중개 회사와 같은 시스템이 생겨날 것인가? 새로운 형태의 자본주의는 과연 플랫폼과 얼만큼 밀접하게 움직일까? 우리의 미래 식량은 어떤 방식으로 나아갈 것이며, 우리가 이용할 탈 것들은 과연 어떤 방향으로 진화할까? 기후 문제는? 그리고 무엇보다, 돈의 미래는 과연 어떠할까?
우리의 생활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진단한 케빈 켈리는 "5000일 후의 세계"에서 많은 의문에 대한 답을 하나하나 짚어낸다. 유튜브며 구글 같은 SNS와 검색 시스템, 블록체인이나 NFT, 드론 및 전기 자동차 등 탈것에 따른 탈탄소와 전기 등 에너지 문제, AR VR에 따른 교육 문제 등은 물론 앞으로 세계를 주도하는 양대 주자에 이르기까지 핵심만 짚어내 이야기하고 있다.
화웨이 문제로 본 넥스트아이폰, 특화된 메가시티 클러스트 등 변화가 가속하는 시대를 맞는 우리는 과연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인가? 저자는 "결국 미래를 만드는 사람은 낙관주의자"라고 말한다. 성공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뭔가 잘되지 않는 일에 도전해야 하며, 새로운 발견을 위해서는 최적화와 반대되는 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케빈 켈리. AI 시대에 사람이 꼭 해야 할 일은 물음을 생각하는 것이라는 그의 말에 무릎을 친다. 상식에 대해 의문을 갖는 습관을 들이라는 미래예측자 케빈 켈리의 "5000일 후의 세계" 미러 월드. 새로운 시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떨치고 싶다면, 비즈니스 기회를 얻고 싶다면, 개인적 성공의 방향을 세우고 싶다면, 지금 알아보자.
출판사 지원도서*
#5000일후의세계 #케빈켈리 #오노가즈모토 #한국경제신문 #미러월드 #AI #테크놀로지 #AR
#인공지능 #증강현실 #자본주의미래 #플랫폼 #SNS #글꽃송이리뷰 #책리뷰 #북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