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남편
모드 방튀라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의 또다른 이름은 '소유욕'이 아닐까? 사랑하면 자신만을 위하는 연인이었으면 하는 것이 보통의 연인들 바람일 것이다. 그런 바람이 지나치면 소유욕이 되고 의심이 되고 집착하게 되면서 관계는 파탄이 나게 된다. 자신의 남편을 너무나 사랑하는 아내가 있다. <내 남편>이라는 제목부터 남편을 너무나 사랑한다는 분위기다. 이야기의 시작부터 남편을 너무 사랑하고 그래서 이름보다는 '내 남편'으로 부른다. '내 남편에게는 이제 이름이 없다. 그는 내 남편이다. 그는 나에게 속해 있다.'라는 문장이 있다. 이 문장을 읽으면서 정말 범상치 않은 소설일 것 같았다. 남편에 대한 사랑이 집착과 소유욕으로 표현되는 한 문장이었다.

내가 너무 사랑하는 내 남편과 내 남편의 친구 부부인 니콜라와 루이즈와 저녁 식사를 하게 된다. 아기 비올레트가 태어난 집 안은 어수선했다. 남편은 죽마고우인 니콜라를 부러워하지만 나는 우리의 삶과 우리의 집이 더 좋다. 아직도 니콜라는 남편의 어릴 적 별명을 부른다. 두 커플은 식사를 하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내 남편이 나를 가장 잘 어울리는 과일로 귤을 꼽았다. 귤이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당시엔 티를 내지 않았다. 그런데 계속해서 '귤'이 마음에 걸린다.

'나'와 내 남편은 15년이라는 결혼 생활과 두 아이가 있다. 너무나 완벽해 보이고 행복해 보이는 삶에 '나'는 내 남편에게 사랑받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이 휩싸여 있다. 남편의 행동 하나하나를 감시하듯 보며 수첩에 기록한다. 모든 잘못을 수첩에 적어두고 그에 맞게 형벌을 내리기도 한다. 이런 행동이 과연 '사랑'일까? 15년차 부부지만 여전히 여성으로 사랑받고 싶다는 강한 욕망을 가지고 있고 남편의 관심을 끌기 위해선 잘못된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 부부만의 사랑법 이해받을 수 있을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자이 오사무×청춘 청춘
다자이 오사무 지음, 최고은 옮김 / 북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작가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을 다시 읽을 기회가 있었다. 소설 <인간실격>을 처음 읽었을 때도 엄청난 충격을 받았지만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 읽어도 <인간실격>은 충격적이었다. 이미 스테디셀러로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는 <인간실격>을 쓴 작가가 다자이 오사무로 다자이 오사무는 작가로서뿐만 아니라 한 인간으로도 평범하지 않은 삶을 살았다. 그런 다자이 오사무는 많은 작품을 남겼고 이 <다자이 오사무X청춘>에서는 다자이 오사무의 작품 중에서도 '청춘'을 테마로 하는 단편들 12편을 모았다. 다자이 오사무라는 작가와 '청춘'이라는 키워드는 유난히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1948년에 생을 마감했지만 다자이 오사무는 유난히 질풍노도의 청춘을 보냈다고 할 수 있다.

단편소설 '등롱'은 1937년에 잡지에 처음 발표된 작품이다. 사키코라는 한 여성의 이야기이다. 가난한 나막신 가게의 외동딸인 사키코는 어머니는 유지의 첩이었고 아버지와 바람이 나 도망을 가 사키코가 태어났다. 부모의 이런 이야기는 동네 사람들에게 알려졌고 마을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가족이었다. 그런 사키코가 백화점에서 수영복을 훔치는 도둑질을 파출소로 끌려간다. 사키코는 자신이 한 일을 반성하였고 단지 교육을 받지 못한 무지에서 나온 행동이었다. 다자이 오사무의 또다른 대표작인 '달려라 메로스'는 신화적인 요소와 교훈을 담고 있는 동화 같은 느낌도 있다. 워낙에 유명한 작품이라 다시 읽어도 메로스의 극적인 달리기가 느껴지는 듯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청춘 청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지음, 최고은 옮김 / 북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쿠타가와 류노스케X청춘>의 작가인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일본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겐 유명한 작가이다. '아쿠타가와상(賞)'이라는 문학상이 있을 정도로 유명한 작가이다. 아쿠타가와는 1892년생으로 35살에 요절한 작가이기도 하다. 천재적인 작가라고 불렸지만 불우했던 어린시절이 성인이 되어서도 삶에 영향을 미쳤고 이른 나이에 자살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작가로 활동한 것은 약 10년 정도라고 한다. 그동안 많은 명작들을 남기고 떠났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X청춘>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쓴 단편들 12편을 모았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X청춘>에 소개된 단편들 중 '늪지'는 1919년에 발표되었다. 한 전람회에 전시된 그림에 얽힌 이야기이다. 화가는 무성하게 우거진 풀과 나무를 초록색이 아닌 누런색을 사용했다. 그런 그림을 보면서 어느 신문의 미술기자는 작가의 작품이 걸작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그 화가는 이미 죽은 사람으로 광기에 휩싸여 그림을 그린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신기루'라는 단편은 작가 아쿠타가와가 세상을 떠나기 직전인 1927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당시 실제했던 구게누마 해변의 신기루 현상을 소재로 했다. '신기루'에서 표현되고 묘사되는 이야기에서 당시 생활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더랜드에 무슨 일이 What Happened in The Wonderland
이사라 지음 / 헤르몬하우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원더랜드에 무슨 일이 What Happened in the Wonderland>는 아주 특이한 소설이었다. 아주 화려하고 귀엽고 눈이 큰 소녀의 모습이 표지로 나와 있어 동화라고 생각했다. 동화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얼마전에 본 영화 '바비'가 떠올랐다. 인형 '바비'는 자신이 살던 인형의 세계에서 인간의 세계로 오게 되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다. <원더랜드에 무슨 일이 What Happened in the Wonderland>는 반대로 화가인 사라는 큰 눈망울의 소녀가 있는 그림 속으로 들어가는 이야기다. 사라는 중요한 전시회를 준비하고 있고 전시회 날짜가 다가오지만 준비가 잘 되지 않고 있었다. 사라는 밤새 그림을 그리다 잠시 누워 눈을 붙이다가 일어나보니 소녀가 눈 앞에 있었다. 원더랜드의 소녀였다. 사라는 원더랜드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소녀의 눈을 통해 4차원의 세계로 빨려들어간다.

원더랜드에서 사라는 럭키 베어, 외눈박이 몬스터 등 다야한 캐릭터들을 만나게 된다. 사라가 오래전에 잊고 있었던 동심을 조금씩 느낄 수 있었고 그림 속의 캐릭터들은 모두 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보인다. 동심에서는 누구나 반짝이며 행복하고 즐거운 일들이 생기고 다들 순수하다. <원더랜드에 무슨 일이 What Happened in the Wonderland>의 그림들은 모두 작가의 작품이다. 그 작품들은 하나의 스토리가 되고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로 학교 샘터어린이문고 79
박남희 외 지음 / 샘터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감 능력이 필요한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구분하지 못해 내가 좋으면 상대방도 좋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 물론 내가 싫은 것도 상대방은 무조건 싫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공감 능력이 필요한 아이들이 있는 학교가 <제로 학교>이다. 이 <제로 학교>에서 벌어지는 네 가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이 이 동화 <제로 학교>이다. 첫 번째 동화 '메이트 러너'는 달리기를 너무 좋아해 육상 선수가 되고 싶은 은서의 이야기다. 은서는 달리기를 너무 좋아하고 육상부에 들어가고 싶어 제로 학교에 전학을 한다. 은서는 자신이 달리기를 좋아하는 만큼 실력도 최고라고 생각했다. 5학년 육상부는 은서와 기주, 명우 이렇게 3명이다. 은서는 자신이 셋 중 1등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육상부 선배들과 다른 아이들은 기주가 실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은서는 기주에게 약간 질투가 났다. 그러다 명우가 훈련 중 다니면서 은서에게 예상 밖의 일이 생긴다.

세 번째 동화 '고치고치'는 정후의 이야기다. 정후는 전학을 왔는데 강아지 같기도 하고 곰 같기도 한 봉제 인형을 가지고 있었다. 아주 오래 되어 보이는 봉제 인형은 군데군데 기운 자국도 있었다. 인형의 이름은 구슬이였고 정후에게 소중한 인형이지만 반 아이들은 구슬이를 싫어했다. 인형은 너덜거리고 냄새가 났다. 아이들은 인형 구슬이 때문에 정후와도 친하게 지내지 못하는 것 같았고 점점 담임 선생님이 정후만 편애해 인형을 가지고 오지 못하게 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정후가 인형을 집에 두고 올 수 있을까? 인형 구슬이와 정후는 어떤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제로 학교>에서는 다른 아이들이 가진 여러 가지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하고 싫어하고 미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소통을 하고 나면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