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가 변해야 아이도 변한다
김경집.이시형.이유남 지음 / 꿈결 / 2018년 12월
평점 :
아이의 교육을 오직 책으로 배우고 인터넷으로 배우는 엄마를 본 적이 있다. 첫 아이를 키우면서 자신이 경험하고 터득하면서 육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유명인이 쓴 육아책이나 외국의 육아 교육법을 믿으며 육아를 따라했다. 첫째 아이고 한번도 아이를 길러보지 않은 초보 엄마이기에 그랬다고 생각했지만 주위 육아 선배들의 조언도 잘 듣지 않았다. 그러면 이렇게 책으로만 육아를 배워도 괜찮을까? <엄마가 변해야 아이도 변한다>와 같은 육아서는 참고의 정도로만 육아에 활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엄마와 아이의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엄마도 아이도 행복할 수 있는 육아라면 도전해 보기를 바란다. <엄마가 변해야 아이도 변한다>에서는 세 명의 전문가들에게서 인문학 특강을 읽을 수 있는데 세 명의 저자에게서 듣는 교육에 대한 의견을 읽어보자.
1강에서는 김경집 교수의 ''나'인 그 아이를 어떻게 품고 살 것인가'라는 제목으로 현대 사회에서 아이들이 행복한지 알아본다.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하지만 아이들의 교육은 오래전 그 형태로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달라진 시대에 우리 아이들의 교육을 시대에 맞게 해야 한다. 과거의 교육에만 갇혀 아이들의 새로운 시대를 부모가 막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며 질문하는 공부를 시키도록 해야 한다. 2강에서는 이시형 박사의 '21세기 아이들은 이렇게 키워야 한다'는 주제를 가지고 있는데 부모의 자기감정 조절에 관한 내용이다. 부모뿐만 아니라 아이도 어렸을 때부터 감정 조절을 신경써야 한다. 아이의 경우 돌쯤 지나면 먹는 것을 보고 모두 자신의 것으로 고집을 피우기도 하는데 이렇게 자기조절 회로가 완성되지 못한 상태에서 아이를 유치원에 보내면 아이를 통제할 수 없게 된다. 최악의 경우엔 방임 혹은 학대가 발생하고 아이에게 더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니 아이의 감정조절이 중요하다. 3강에서는 '삶을 바꾸고 존재를 깨우며 영혼을 살리는 코칭'이라고 해서 사춘기 청소년들이 느끼는 감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행복한 부모에 행복한 아이가 되기에 부모와 아이의 행복이 중요하다. 교육으로 고통 받는 아이들의 인성과 학습, 행복을 주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지 읽어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