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와 칼 오랫동안
루스 베네딕트 지음, 정미나 옮김 / 느낌이있는책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국화와 칼>은 일본인의 양면성을 가장 잘 분석한 명작으로 꼽힌다. 이는 곧 동양 문화의 패턴으로 읽히기도 한다. 이 책은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일 때 미국 정부의 의뢰를 받은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인 루스 베네딕트가 일본 문화를 분석한 보고서였다. 더욱 놀라운 것은 루스 베네딕트는 한 번에 일본에 가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미국 정부는 왜 일본인들이 끝까지 저항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그래서 베네딕트에게 연구를 의뢰했고, 그녀는 미국 내 일본인들을 인터뷰하고 방대한 자료 조사를 통해 일본인의 위계질서 의식과 명예 개념을 분석해냈다. <국화와 칼>은 일본인들의 이중적 잣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느낌이있는책' 출판사가 시간이 지나도 마음속에 남아있는 책을 재출간하는 '오랫동안 시리즈'의 첫 권으로 선택했다.




국화와 칼은 일본인의 극단적인 양면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것으로, 공격적이면서도 비공격적이고, 군국주의적이면서도 심미적인 양면성을 보여준다. 다만 일본을 이해할 때는 국화와 칼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국화는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일본의 탐미주의를 지칭하지만 또한 아프게 박혀 있는 철사를 의미하기도 한다. 일본인의 칼도 단순히 무사나 과격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성찰의 기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국화와 칼>에는 당시 미국의 편향적인 시선이 아닌 양면성을 인정하는 루스 베네딕트의 고유한 시선이 담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필자가 청각장애를 가진 양성애자로 미국의 문화가 아닌 타문화를 다소 관용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한다. 일본인들에게서 드러나는 극단적 이중성은 단순히 겉으로드러나는 행동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적인 맥락을 통해 이해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베네딕트는 일본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위계질서 의식과 명예에 주목했다. 이는 일본을 지탱하는 도덕률로 온, 기무, 기리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다. 일본인들의 도덕률은 서양의 기준과는 전혀 다르며, 심지어 가까이에 있는 한국, 중국과도 전혀 다른 일본만의 특징이었다.


그 중에서 '온(溫)'은 의무, 충성, 친절, 사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번역되지만 실제로는 어떤 의미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다만 온은 윗사람에게 받는 부담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 그래서 자녀, 윗사람이 아닌 사람 등으로부터 온을 받는 행위는 불괘하게 받아들여진다. 온이 여러 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의미는 빚에 있다. 빚을 갚는다는 의미가 가장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인이 가진 최우선적이고 최고의 부채의식은 바로 '천황의 온'이다. 이는 어떤 경우에서든 무한한 헌신의 의미로 사용된다.일본에서 최고의 윗사람은 천황이며 모든 국민에게 온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런 온의 개념은 동양의 효도의 개념과도 다른 특이한 개념이다. 책에 나온 내용을 다 읽었음에도 우리말로 명확하게 설명할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다.


거의 반세기 전에 미국인들이 일본인을 이해하기 위해 조사한 보고서인 <국화와 칼>은 시대가 흘렀어도 여전히 유효하다. 조사 당시와 달라진 것도 많겠지만 여전히 일본인을 이해하기 위해 쓰여진 책들 중에서는 백미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일본과 한국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책들도 많은데 우리와 가까운 나라 일본은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문화가 많이 존재하는 것 같다. 상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수록 서로 친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