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인이 어떤 사람들인지 알려주마
발검무적 지음 / 파람북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생전에 대한민국이 군사강국이 아니라 문화강국이 되길 소망하셨다는 김구 선생의 혜안에 놀라는 요즘이다. 코로나19를 전후로 윤여정 배우, 봉준호 감독의 시상으로 김구 선생의 소원이라는 검색어로 자주 호출되는 것 같다. 이전에도 한국 문화는 한류, K-POP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퍼지고 있었으나 이제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K-컬처라는 단어로 일반명사가 되어 가고 있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 등이 OTT 중심으로 소비되는 시대에 한국 문화 콘텐츠의 위력은 점점 대단해지고 있다. 전세계에서 한국을 모르는 나라가 없을 정도가 되었고, 한국 문화에 대한 동경이 생겨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늘어가고 있고, 심지어는 대학교에서 한국어과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는 것이 뿌듯한 순간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민주주의가 최고도로 발달한 미국에서도 해내지 못한 잘못된 지도자를 내려앉히는 탄핵을 2번이나 했다. 물론 좋은 일은 아니지만 국민의 뜻을 받들어야할 지도자가 국민을 대표하지 못한다면 반드시 심판받아야 한다는 국민성을 반영한 것은 아닐까? 조선시대에도 왕을 내려앉히는 일들이 종종 있지 않았는가?
필자는 한국 문화의 전문가로서 세계 각지의 대학에서 한국 문화와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다른 누구보다도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고민으로 세계 시민을 대상으로 알리고 있었던 그가 책을 펴낸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인인 우리들조차도 외국인들의 질문에 답하지 못한 한국이라면 당연한 것들에 대한 이유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는 왜 그렇게 다른 세계 시민들이랑 다를까? 그리고 세계 시민들은 다른 점을 신기하게 생각하고, 동경하는 것일까?
과거에 한국은 '고요한 동방의 나라'라 불리었다. 하지만 지금은 전세계를 들썩이게 하는 다채롭고 역동적인 나라가 되었다. 한국은 원래 고요하고 조용한 나라가 아니었다. 예로부터 한국은 역동적이며 열광적인 문화가 있었다. 한 번 집착하면 끝을 보는 성격을 가진 민족이고, 잊히지 않고 지키는 것들이 많은 민족이다.
한국은 왜 다른 나라에 비해 치안이 좋을까? 한국 식당에는 왜 테이블마다 벨이 있을까? 왜 한국인은 식당 종업원을 이모라 부를까? 왜 한국에는 교회가 많을까? 왜 한국인들은 치킨을 좋아할까? 왜 한국인들은 술잔을 돌리는 걸까? 왜 한국인은 하얀 피부에 집착할까? 왜 한국인은 집에서 신발을 벗을까? 왜 한국인은 암내가 나지 않을까? 왜 한국인은 나이부터 확인하려 할까? 나를 포함한 우리가 속한 대한민국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질문들이 아닌가?

외국인들이 가장 신기하게 여기는 것들 중 하나는 한국의 치안문제이다. 한국을 다녀간 외국인들이 올린 유튜브 동영상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밤 10시 이후에 거리를 활보하는 모습과 카페에서 노트북을 두고 자리를 뜨는 행동들이다. 한국을 제외하고 세계의 어떤 나라에서도 불가능(?)에 가까운 행위라는 것이다.
나는 이런 것들이 도처에 깔려 있는 CCTV 때문이란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잘 따지고 보면 CCTV는 우리나라보다 더 많은 나라들도 많다. 결국 필자는 CCTV외에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을 한다. 크게 2가지로 나눈다. 동양적 정서가 강한 나라에서는 범죄자들이 받을 사회적 압박이나 편견, 그리고 가족들이 받을 불이익에 대한 것들이 강하게 작용한다고 말한다. 나도 필자의 이런 의견에 공감한다.
다음은 한국에서는 범죄자들이 반드시 잡힌다는 것이 상식이다.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무조건 잡힌다는 인식이 범죄률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 어떤 나라보다 미제 사건이 적다는 통계가 이를 뒷받침한다. 그럼에도 못 잡는 것이 있는데, 필자는 이를 두고 못 잡는 게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넘긴다. 요즘 영화나 드라마를 잘 보면 못 잡는 게 아니라는 말이 이해가 된다.
3개의 주제에 각각 14개의 이야기가 들어 있다. 한국인인 나도 왜 우리는 그럴까라는 생각을 전혀 해보지 못한 내용들이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외국인들의 질문에 답하기 좋은 근거들이 많아 한국인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