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에 읽는 융 심리학 - 이렇게 계속 살아도 괜찮을까
제임스 홀리스 지음, 정명진 옮김, 김지용 감수 / 21세기북스 / 2025년 2월
평점 :
*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인생에 정답이 있을까? 마흔이 넘은 나는 이제 당당히 말할 수 있다. 인생에 정답은 없으면 정해진 길도 없다. 어느 누구도 동일한 인생, 심지어는 비슷한 인생을 살지도 않는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생에 정답이 있는 것처럼 삶의 길을 안내하고, 성공의 지침을 강요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인생에 정해진 길이 있을까?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에서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신만의 행복을 위해 타인의 삶의 희생을 요구할 수 없다. 남들과의 조화로운 삶을 위해 맞춰갈 수는 있지만 자신을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 어느 순간의 나의 욕망은 사라진채 사회가 동시에 원하는 것을 좇고 있지는 않는가? 타인의 욕망에 집착하여 자신의 진정한 욕망은 잊은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세상의 흐름이 정신없이 살아가도록 유도했다고 탓할 수 있을까? 정신 없는 흐름 속에서 나를 잊어버리고 다른 사람이 바라는대로 살아가고 있지는 않을까? 먹고 살기 바쁘고 육체적인 피로와 괴로움에 묻혀 내면을 바라보지 못한 시간의 연속이었다. 바쁜 세상 속에서 내면을 바라보는 노력은 한가로운 사치에 불과할까? 과거 어느 때보다도 자신의 내면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세상의 기준이 어떠하든, 타인이 무엇을 강요하든 나는 나의 길을 갈 수 있는 마음의 체력을 길러야 한다. 언제까지 세상의 탓만 하고 있을 것인가? 나의 내면이 단단해야 나를 둘러싼 혼란을 이겨낼 힘이 생기지 않을까?
과거의 삶을 반복하게 될 때 느끼는 우울함과 확실히 알 수 없는 안개 속 같은 미래에 대한 불안함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 기대되는 인생의 2막을 위해서는 반드시 아직은 안개 속 같지만 좋아질 수 있는 미래에 대한 불안함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과거에 대한 끊임없는 반추, 후회 등은 우울함을 자아낼 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필자인 제임스 홀리스는 융 심리학을 대중화한 뛰어난 학자 중 한 사람으로 인간의 본능적인 결핍 속에 숨겨진 트라우마와 그 치유의 가능성을 밝혀낸다. 사랑, 배움, 아픔, 슬픔 등으로 표현되는 결핍과 그 결핍을 차분히 들여다 봄으로써 발견되는 치유의 가능성이 융 심리학의 진정한 성과일 것이다. 필자는 우리가 가진 결핍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인정하는 순간 치유의 순간이 시작된다고 말한다.
인간은 완벽성이 아닌 전일성을 갖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완벽한 사람보다는 결핍까지도 온전한 자기다움으로 끌어안는 수용의 자세가 개성화에도 성공한다고 말한다. 자신이 가진 것들의 좋고 나쁨을 떠나 솔직하게 받아들이는 것, 더 나아가 자기다움을 인정하는 것이 나를 치유하는 시작점이 되는 것이다.
타인과 잘 어울리면서 타인의 기준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구분되는 독특한 개성을 가진 한 인간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삶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치유의 시작이면서 개성화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로소 과거의 트라우마와 콤플렉스를 받아들이게 되고 삶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어렵게만 느껴졌던 융 심리학이 실제로는 우리 자신의 자기다움을 찾는 지름길이고, 현대 자기계발서에서 강조하는 자존감에 대한 시작점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아직은 겉핥기에 부족하겠지만 공부를 거듭할수록 깊이 빠져있을 내 자신이 상상되어 나도 모르게 웃음을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