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시간 - 현명한 투자자가 되기 위한
권오상 지음 / 지베르니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필자는 투자에 대한 책을 많이 집필했지만 책 제목에 '투자'라는 말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필자는 자신의 전문 분야인 투자는 도박판이나 마찬가지 같아서 일반인들에게 투자를 권하고 싶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게 일반인들은 투자와 조금 멀어져 있어도 좋을 듯 하다는 판단을 했다. 투자(投資)의 한자처럼 불확실한 것에 재산을 던져야 하는 상황을 그다지 권하고 싶지 않았던 것일까?


그러나 자본주의가 망하지 않는 한, 그리고 우리의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있지 않는 한 일반인들도 광의의 투자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이른다. 도박판 같은 투자 시장을 아무 것도 모르고 당하는 것보다 투자의 이론과 실제를 무장하도록 하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을 한다. 이제는 이 책을 통해 일반인들도 투자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함이다.


책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의 투자 방식과 현재의 투자 방식을 비교하고, 급변하는 시대에 바람직한 투자 방향을 제시한다. 특이한 것은 1부의 과거의 투자와 2부의 새로운 투자가 정확하게 12가지 테마로 매칭되어 있다는 것이다. 과거의 투자 방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과거의 투자 방식을 자세히 설명하고 2부에서 현재에는 잘못된 방식임을 설파한다.


필자가 과거에는 옳았지만 지금은 틀린 12가지 주제를 제시한다. 투자, 은행예금, 주식, 수익과 리스크, 좋은 투자, 손실, 리스크와 리턴, 주권, 단기적 이익, 다각화, 보통의 투자자, 레버리지 등 12가지 주제가 과거에는 투자의 이름으로 어떻게 강조되어 왔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왜 지금은 유효하지 않은지를 조목조목 따진다. 그렇게 3부에서는 현재 유망한 투자 전략을 다룬다.




레버리지를 보자. 레버리지는 작은 것을 크게 확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과거에는 수익률이 높은 투자 분야를 찾아 최대한의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것이 투자 성공의 지름길로 여겼다. 과거에는 지금부터 투자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적었고 예측 가능한 범위가 넓었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예측 불가한 분야가 더 많아 보인다. 그래서 지금은 레버리지를 잘못 사용하면 망할 가능성만 높아지는 것이다.


과거에는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면 레버리지의 비율을 높이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레버리지의 장점만큼이나 부(-)의 레버리지의 단점도 명확하지만 장점에만 집중했다. 레버리지에는 위험도 따르지만 이자도 따른다. 약간의 레버리지도 수익을 달성했지만 만족스럽지 않다면 레버리지를 높이면 그만이었다.


새로운 투자의 시대에는 레버리지의 장밋빛을 거두어낼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레버리지에 따른 수익률의 기댓값에 집중했다. 하지만 새로운 투자의 시대에는 레버리지의 단점에 주목한다. 도박처럼 레버리지의 확률에 기대하면 제시 리버모어처럼 회생 불가능한 상태에 이를지도 모른다. 레버리지는 장기성장을 위해서는 독이나 다름없다. 새로운 투자의 시대에는 레버리지가 수익률을 높이는 만큼 파멸의 가능성도 높인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할 것이다.


과거의 투자와 현재의 투자 사이에서 여전히 중요한 투자의 문제들을 다룬다. 여전히 중요하지만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과거에 통했던 방법들이 여전히 유효한지 점검할 필요가 있고, 성공의 가능성 만큼이나 파멸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