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해상도를 높여라 - 일 잘하는 사람은 선명하게 생각한다
곤도 유타카 지음, 명다인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오랜만에 독특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책을 만났다. 필자는 해상도가 높은 사람이 일도 잘한다는 주장을 한다. 해상도는 일과 고객을 꿰뚫어보는 통찰력 같은 것이다. 해상도가 높은 사람들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나눈다.


모두가 같은 환경에서 같은 것을 보지만 유독 모든 일을 세세하게 볼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은 구체화 사고력이 뛰어난 사람이다. 구체화 사고력 외에도 추상화 사고력이 필요하다. 모든 배경에 숨어 있는 성공의 법칙을 찾아내는 힘이 바로 추상화 사고력이다. 마지막으로 상대에 따라 구체화 사고력과 추상화 사고력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똑같은 것을 보고, 비슷한 경험을 하더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바가 다르다. 즉 일 잘하는 사람이 바라보는 세상은 평범한 사람들이 바라보는 세상과 전혀 다르다는 말이다. 필자는 이런 것을 해상도로 설명한다. 선명하게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일을 잘한다고 말한다.


해상도는 말 그대로 선명함을 말한다. 사진을 찍을 때 흔들리면 사진이 번져 보인다. 안경에 뿌연 안개가 끼면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없다. 우리의 시야를 막아서 물체를 제대로 볼 수 없다면 그 실체를 파악하는 것도 어렵게 된다.


일을 할 때 해상도가 높은 사람은 모든 일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모든 일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고, 상대방의 수준에 따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다. 반면 해상도가 낮은 사람은 이야기에 구체성이 없고 모호하다. 누구나 말할 수 있는 단순한 의견밖에 제시할 수 없으며, 상대방을 설득하는 데 문제를 겪는다.




생각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하다. 필자는 사고의 화소, 사고의 그림폭, 사고의 조절력을 높이기 위한 훈련법을 본문에서 주로 다룬다. 이 사고법의 핵심은 바로 질문법이다. 질문을 통해 사고가 움직이기 때문에 모든 사고의 시작점은 항상 '질문'이다. 질문에서 중요한 핵심은 바로 질문의 종류이다. 질문의 종류에 따라 사고의 질이 달라진다.


구체화 사고는 비슷한 것들 사이에서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구체화 사고의 속도를 높이려면 비교하고 무엇이 다른지 끊임없이 질문하면 된다. 질문은 사고의 속도를 높인다. 사고력 훈련을 할 수 있는 질문들이 계속 나온다. 단순히 읽고 끝내려고 하는 내 마음을 어떻게 알았는지 반드시 문제를 읽고 답을 함께 고민하라는 지침을 내린다.


각 파트는 3가지 사고력 훈련을 위한 <기본 훈련> 문항이 제시되고, 이어 실전훈련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화 사고는 차이점 찾기, 원인 분석 훈련에 초점을 맞춘다. 추상화 사고는 공통점 찾기, 분류 훈련, 요점 추출 훈련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사고의 조절력은 구체와 추상의 사이를 포착하는 훈련으로 시작해서 비유훈련, 구체와 추상의 튜닝으로 마무리한다.


차이점 찾기를 통해 구체화 사고를, 공통점 찾기를 통해 추상화 사고를 훈련한다. 이렇게 단련된 사고력을 대상에 따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조절력을 같이 갖춘다면 일을 잘하는 주체적인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늦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