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 예찬 - 위대한 사상가들의 실패에 대한 통찰
코스티카 브라다탄 지음, 채효정 옮김 / 시옷책방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말한다. 실패를 많이 한다는 것은 시도를 많이 했다는 것이고, 에디슨의 말처럼 성공에 더 가까이 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실패를 많이 경험했음에도 성공하지 못하는 것은 성공할 때까지 충분히 실패를 견디지 못했다는 말이다. 성공한 사람들이 항상 성공 가도를 달리는 것은 아니다. 실패를 하고 성공하는 방법을 찾아 결국은 성공하는 것이다.


성공한 사람들의 성공 비법은 성공한 사람들만큼 많다. 마찬가지로 성공하는 사람들이 실패에 대해 갖는 생각 또한 성공한 사람들만큼 그리고 실패한 사람들만큼 많을 것이다. 명확한 것은 실패를 받아들이고, 또 다시 일어나 성공을 향해 묵묵히 걸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실패에 굴복하지 않고 성공을 해내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 동안 성공한 사람들의 실패를 극복하는 방법은 성공할 때까지 행동을 하는 것이었다. <실패 예찬>은 많은 선지자들, 철학자들의 실패에 대한 접근을 필자만의 접근법으로 해석한다. 겉으로는 성공한 사람들의 삶이 화려해 보이지만 실제로 그들이 겪어야 했던 실패의 국면을 물리적 실패의 원, 정치적 실패의 원, 사회적 실패의 원, 생물학적 실패의 원 등 4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물리적 실패의 원은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것으로 영적인 조화를 이루지 못함을 이른다. 우리를 둘러싼 다양한 물질과 물질적 삶이 우리를 비인간적으로 만들어 간다. 시몬 베유의 삶을 통해 실패를 통해 겸허함을 배우는 자세를 논한다. 물건의 실패가 우리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꺼리를 제공한다.


정치적 실패의 원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삶의 일부분이라고 말한다. 심지어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들조차 특정 커뮤니티에 소속되어 나도 모르게 정치적인 행위를 하게 된다는 말에 동감한다. 완벽함을 추구하는 강박적인 욕구가 실패로 이끄는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실패의 원은 사회를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인간적 유대에 대해 다룬다. 우리는 사회적 관계로 얽혀 있고, 이 얽힘 속에서 실패를 경험할 수 밖에 없다. 어떤 사람들은 사회 속에 만연한 실패의 경험을 숙명처럼 받아들이면서 이겨내는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으로 생물학적 실패의 원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죽음과 관련되어 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언젠가는 죽을 수 밖에 없는 상태에 놓인다. 아무리 죽음으로부터 달아나려해도 우리의 유전자 깊숙히 새겨진 죽음을 피할 수는 없다. 그래서 피할 수 없는 실패에 대한 대응으로 '아름다운 죽음'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실패에 대한 철학적인 고찰과 더불어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을 같이 다룬다. 선지자들의 실패에 대한 경험들을 통해 4개의 단계를 살펴보고 실패에 대한 우리의 자세에 대한 교훈을 주려고 한다. 책 제목처럼 실패를 무조건 나쁘게 생각하지도 않지만, 무조건 좋은 것이라고 보지도 않는다. 다만 실패의 실체를 파헤치고 우리의 성공을 위해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은지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