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카의 말 - 주체적이고 행복한 삶을 위한 철학 에세이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 메이트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아철학은 인생과 행복을 다룬다. 세네카는 스토아철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세네카는 치열한 로마시대를 살아가면서 철학 자체의 학문 연구보다는 현실적인 삶의 문제 해결에 집중한 철학자였다. 오늘날 우리가 고민하는 많은 것들에 대한 고민말이다.



현실과 동떨어진 문제를 다루는 기존의 철학과는 달리 세네카는 자연과 윤리에 집중하면서 평정심을 강조하였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하면서 선을 실행하면 바르게 살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책은 세네카의 여러 저서들을 3부분으로 편집했다. 세네카의 인생론, 행복론, 그리고 화 다스리기다. 인생론은 <인생의 짧음에 대하여>, <마음의 평정에 대하여>, <섭리에 대하여>라는 3편의 에세이를 한데 모았다.





<인생의 짧음에 대하여>에서 세네카는 인생의 길이는 우리가 얼마나 유용하게 시간을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얼마나 오래 사느냐보다 얼마나 알찬 시간을 보내느냐가 인생을 결정한다고 말한다.



<마음의 평정에 대하여>에서는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마음의 평정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죽음과 불행같은 것들을 염두에 두고 마음의 평정을 유지할 수 있다면 누구나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한다.



<섭리에 대하여>에는 선한 이들에게 왜 나쁜 일들이 일어나는가를 묻는 루킬리우스의 질문에 대한 답이 있다.



세네카는 미덕을 추구하고 자연의 섭리에 따르면서 살다 보면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세네카가 말하는 행복한 삶이란 결국 평정심을 유지하면서 자연과 윤리를 따르는 것이다.



인생론과 행복론에 이어 화 다스리기를 별도로 다룬 것은 현대인들의 삶에서 '화 다스리기'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화만 다스릴 줄 알면 자신과의 싸움에서 절반은 이긴 것이나 마찬가지다.



세네카는 화라는 감정은 고삐 풀린 망아지와 같아서 일단 화가 시작되면 그 후로는 내 마음대로 다스리기가 힘들다.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이성과 화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화란 무엇이고 화로 인해 겪는 어려움과 잘못된 행동들은 무엇인지 현실적인 조언을 한다.



세네카 이후 많은 시간이 흘러 세상이 많이 변했다. 기술의 발전으로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발전을 이루어냈지만 사람이 고민하는 것에는 별 차이가 없는 듯 하다. 어떻게 인생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 어떻게 살아야 행복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 화를 어떻게 적절하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은 현대에도 이어진다.



결국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는 스스로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듯 하다. 세네카를 포함한 옛 선인들의 글을 통해서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여유가 필요한 시점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