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천과 함께하는 붓으로 배우는 캘리그라피
김성태 지음 / 덕주 / 2022년 7월
평점 :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소재로 하는 영화가 많다. 그 중에서 <명량>과 <한산>은 내가 손에 꼽는 정말 잘 만들어진 영화다. 역사를 소재로 하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영상미 못지 않게 눈에 띄는 것이 서체다. 영화 포스터나 스토리를 지배하는 서체가 정말 인상적이다.
지금은 그런 서체들이 캘리그라피라는 것을 알지만 처음에는 그냥 멋있다는 생각 밖에 없었다. 어렸을 때 붓글씨 연습, 펜글씨 연습을 했던 기억이 난다. 디지털 도구들이 잘 발달되어 있음에도 아날로그로 쓰는 글쓰기 연습은 여전히 중요하다. 캘리그라피는 실용적인 글쓰기와는 많이 다르다. 글쓰기를 예술로 승화시킨 경지다.
누구나 따라할 수 있지만 아무다 탁월해질 수는 없다는 말처럼 많은 사람들이 캘리그라피에 도전한다. 기본적인 지식과 연습을 통해 누구나 캘리그라피를 할 줄 안다. 20년간 많은 방송 타이틀을 써온 전통 서예 전문가이자 1세대 캘리그라피 작가인 저자의 책은 차원이 다르다.
저자는 붓펜과 일반 종이가 아닌 붓과 화선지에 담는 캘리그라피 예찬자다. 다른 책들과 다르게 우리나라 전통 서예를 바탕으로 캘리그라피를 접근한다. 펜이나 다른 도구를 사용한 캘리그라피는 다루지 않는다. 전통 방식 그대로 먹이 화선지에 번지고 마르고 거칠게 표현되는 매력을 즐긴다.
캘리그라피의 학문적인 배경을 제공하려 노력했고, 한글 캘리그라피의 뿌리를 한글 판본체와 필사체에서 찾으려 했다. 판본체 중에서도 훈민정음체, 필사체 중에서도 궁서 정자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를 담고 있다.
이 책 한 권이면 훈민정음체와 궁서 정자체를 기본으로 하는 한글 캘리그라피를 마스터할 수 있다. 붓을 이해하고 붓을 사용하는 법을 익힌다. 붓을 사용해본 사람이 많지 않으므로 붓 다루는 연습부터 다룬다. 바둑판 긋기, 사다리 긋기를 통해 상하좌우 획을 그리는 연습을 한다. 물결 긋기, 원 긋기를 통해 곡선 그리는 연습을 한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기본 단어들을 통해 훈민정음체와 궁서 정자체를 연습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충분한 모음, 자음, 단어 쓰기 연습을 통해 실전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책을 따라하다보면 문장 따라 쓰기 연습까지 마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캘리그라피 작품을 만들 수 있다. 마치 책이 아니라 저자의 강연을 따라하는느낌을 받게 된다.
특히 부록으로 제공되는 다산 정약용 어록, 법정 스님 어록, 충무공 이순신 어록은 반드시 따라해볼 것을 추천한다. 우리가 쉽게 접하지 못한 것들이고, 귀한 말씀이기 때문이다.
캘리그라피로 시작한 공부는 마치 서예 수업을 마친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특히 부록에 있는 세 분의 어록을 따라하다보면 캘리그라피를 넘어서 전통 서예를 깊이 있게 공부한 느낌을 갖게 하는 책이다. 쉽게 배우고 쉽게 가는 캘리그라피가 아니라 화선지와 먹처럼 약간의 기다림을 필요로 하는 캘리그라피야말로 인생의 묘미를 느낄 수 있는 배움이 아닐까 싶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