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시작하는 맹자 - 지혜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인생 공부 ㅣ 슬기로운 동양고전
김세중 지음 / 스타북스 / 2022년 5월
평점 :

학교에서 배운 동양 고전의 대가는 공자, 맹자, 장자다. 특히 맹자는 사람은 원래부터 선하다는 성선설을 주장한 학자로 유명하다. 대학자로 알고 있는 맹자도 어릴 때는 어머니의 말을 잘 안 듣는 말썽꾸러기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3번이나 이사 다니면서 가르친 맹모삼천지교가 유명해졌다. 무덤 근처에서 시장 근처로, 그리고 마지막은 학교 근처로 이사했다. 그로 인해 교육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두고두고 회자되는 성어다.
학교에서만 배우고 책으로는 처음 공부하는 맹자다. 맹자는 유교경전 사서 중의 하나로 덕에 의한 정치, 즉 왕도정치를 주장하는 정치철학서다. 그가 주장하는 왕도정치는 정전제, 교육, 성선설이다.
특히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착한 마음을 타고 났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이 핵심이다. 타고난 착한 마음은 현실에서 여러 가지 장애로 온전하게 발휘되지 않는다. 맹자는 그 장애를 없애는 방법으로 교육 및 수양을 강조한다.
저자는 맹자를 더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 '명언 이야기'와 '명언의 역사적 사례'를 가미했다. 특히 명언이 생겨나게 된 역사적 배경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를 실어 흥미롭다. 자연, 사회, 인생 등에 대한 중국의 다양한 생각과 가치관을 읽어볼 수 있다.
자기 자신에게서 잘못의 원인을 찾다
맹자는 사람은 본성이 선하지만 인을 행할 수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선악이 바뀔 수 있다고 말한다. 자신의 일에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활 만드는 사람이 활 만드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는 것과 같다. 이럴 때는 인(仁)을 행하라. 활 쏘는 사람이 자세를 바르게 하고 활 시위를 당긴다. 화살이 빗나간다 하더라도 자신을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않고 자신에게서 그 잘못을 찾는다.
인(仁)은 사람을 선하게도 하고, 스스로의 잘못을 인정하게도 한다.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 전에 스스로가 잘못한 것은 없는지 먼저 돌아보게 하는 명언이다. 남이 잘못한 경우도 있겠지만 스스로를 먼저 돌아보면 해결되는 일이 많다. 오래 전의 말씀으로 스스로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부자가 되려면 모질어야 한다
양호는 "부자가 되고자 하면 선해질 수 없고 선한 사람이 되고자 하면 부자가 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맹자가 살던시대의 제후들은 자신의 땅을 넓히기 위해 작은 나라의 땅을 뺏거나 아예 없애버리곤 했다. 등나라의 등 문공은 왕위에 오르면서 고민이 생겼다. 나라가 가난하고 외부의 끊임없는 침입으로 혼란해져 강국이 되는 방법이 알고 싶었다. 문공은 맹자에게 조언을 구한다. 맹자는 양호의 말은 말이 안된다며 백성들에게 인정을 베풀라고 조언한다.
예로부터 부자들은 좋은 이미지보다 나쁜 이미지가 많았다. 그런 이미지가 현재까지 이어지는 듯 하다. 예전에는 상인들을 천대시했기 때문에 상인 외에 부자가 된 사대부 계층은 인자함과 거리가 멀었다. 많은 역사 관련 영상물에서도 부자는 탐욕스럽고 이기적인 모습을 그린다.
요즘 부자들은 점점 좋은 이미지를 갖는 것 같다. 사기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남의 것을 이용해서 부자가 되기보다는 남에게 이로운 것을 제공하는 대가로 부자가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부자가 되려면 모질어야 한다고 말한 양호의 말은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