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NFT 교과서 - 어려울 게 뭐가 있어? 필요한 것만 알면 되지!
황성배.전래훈 지음 / 페이지2(page2)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분야나 기술은 믿으려 하지 않는다. 십 수 년전에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비트코인이 나왔을 때도 사람들은 폰지 사기라고 생각했다. 지금은 비트코인은 포함한 가상화폐는 지불 수단으로서도 기능을 한다. 심지어 어떤 나라는 국가 공용 화폐로 지정하기도 했다.



요즘 NFT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몇 년 전 비트코인을 바라볼 때랑 비슷하다. 새로운 기술을 먼저 체험하고 그 가치를 아는 사람들은 남들보다 열려 있고,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도 많다.



저자들은 NFT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일반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 NFT가 무엇인지 쉽게 설명하고 NFT 관련 기사가 나올 때마다 같이 나오는 어려운 용어를 정리했다. 더불어 아직도 생소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에서 NFT 시장에 아직은 기회가 있다고 본다.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고 한다. 각각의 고유성과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일종의 디지털 정품 보증서라고 보면 된다. NFT는 누구나 만들 수 있으며 NFT를 만드는 행위를 화폐를 주조한다는 의미의 민팅(Minting)을 사용한다.



NFT는 국내외 가상화폐 거래소나 NFT 전용 거래소를 통해 사고 파는 것이 가능하다. NFT를 거래할 때는 주식 거래를 할 때처럼 3가지 종류의 수수료가 발생한다. NFT는 현재 대부분 암호화폐로만 거래가 가능하다.



NFT를 구매하는 것은 저작권을 구매하는 것과는 다르다. 디지털 정품 증서인 NFT를 구매했다고 해서 저작권은 여전히 제작자에게 남아 있다. 다만 거래 당사자들끼리의 소유관계와 소유권에 대한 부분만 주장할 수 있다. NFT와 관련된 권리 부분은 많이 헷갈리고 어렵다. NFT를 사고 팔 때는 이 부분에 특히 주의해야 할 것 같다.



NFT에 대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핵심용어는 12가지다. ERC20과 ERC721, 디앱(Dapp)과 앱(app)의 차이,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작업증명(Pow)/지분증명(PoS)/위임지분증명(DPoS), 디파이(DeFi), 다오(DAO), ICO,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테스트넷과 메인넷, 에어드랍, 민팅, 증명사진 NFT 등이다.



NFT는 유명 예술 작가들이 애용한다. 기존의 디지털 작품은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는데, 디지털 작품에 NFT를 적용하는 순간 대체 불가능한 단 하나의 진품이라는 소유권에 대한 증명을 할 수 있다.



또한 NFT는 예술 작품 시장에서 유동성 공급자의 역할도 한다. NFT에 대한 추적과 증명을 통해 저작권 보호가 확실해지면서 거래의 안전성을 더한다. 또한 거래소를 통해 직접 거래가 가능하므로 사고 팔기가 수월하다.



게다가 NFT는 사회적 지위와 새로운 부를 상징하는 디지털 자산이 되어 가고 있다. 이미 많은 NFT 작품들이 많게는 수백 억에 거래가 되고 있다. 이미 NFT 자산은 투자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고 있는 듯 하다. 조그마한 원숭이 사진 하나가 몇 백에서 몇 천을 호가하는 현상을 잘 이해가 되지 않지만 부자들의 논리에서는 이해가 갈만도 하다.



추가로 3부에서는 NFT를 직접 만들어서 파는 방법까지 알려준다. NFT 자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차근차근 따라하다 보면 나만의 디지털 자산을 만들 수 있다. NFT를 직접 만들어서 한 번 파는 경험을 해보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