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만이 살길 - 콘텐츠 전쟁에서 승리하는 27가지 스토리 법칙
리사 크론 지음, 홍한결 옮김 / 부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드라마를 좋아한다. 특히 범죄, 심리 드라마를 좋아한다. 드라마가 주는 스릴과 촘촘하게 이어지는 스토리에 나도 모르게 빠져든다. 스토리는 설득력과 함께 중독을 부른다. 스토리는 드라마, 예능, 상품 판매, 정치 유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요즘은 퍼스널 브랜딩의 시대다. 예전에는 기업이나 상품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스토리텔링이 이제는 개인들에게도 필수인 시대가 되었다. 스토리는 곧 콘텐츠다. 그대로 나열된 사실만으로는 설득되지 않는다. 나열된 사실을 내가 원하는 쪽으로 이끌어지도록 해석하는 것이 스토리다.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듣는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를 들려주어야 한다. 남의 스토리가 나에게도 중요하다고 공감할 수 있어야 사람드른 생각을 바꾸고 행동을 하게 된다. 이 책은 생각을 바꾸고 삶을 바꾸는 27가지 스토리 법칙에 대해 이야기 한다.



SNS가 발달하면서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메시지를 말과 글로 전달하는 시대다.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나 유튜브를 통해 그들의 메시지를 매일 생산해내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자극적인 카피나 공격적인 마케팅을 불사하는 경우도 많아 실망스러운 경우도 있다.



꾸준히 구독하는 블로그나 유튜브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바로 '스토리'다. 한 가지의 핵심 주제에 맞게 지속적인 스토리를 게재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 단지 메시지를 더 많은 사람에게, 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스토리의 기술이 부족할 뿐이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스토리의 핵심은 하나다. '듣는 사람'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자기 메시지에 자기가 심취해서 듣는 사람은 고려하지 않고 말하곤 한다. 듣는 사람의 스토리와 통하는 스토리를 찾아내서 들려주어야 한다.



금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흡연자들은 쉽게 반응하지 않는다. 흡연으로 인해 병을 앓고 죽어가는 사례를 알려주면 달라진다. 또한 담배갑에 흡연으로 인해 발행하는 위험을 그림으로 적나라하게 그려놓으면 또 달라진다. 금연의 메시지보다 더 강한 것은 바로 이런 스토리다.



아프리카의 아이들은 물 부족에 시달린다. 아이들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기 위해 기부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쉽게 설득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오염된 물을 마시고, 병들어 있는 아이들을 보면 달라진다. 그리고 최근 유명 여배우가 하는 광고는 끌리는 스토리다.



깨끗한 물이 담긴 컵에 동물 사체 등 몸에 해로운 것을 잔뜩 넣고 '물을 드세요'라고 말하는 광고의 스토리는 정말 충격적이다. 실제로 아프리카 아이들이 이런 물을 마시고 있기 때문이다. 스토리의 힘은 100마디 구호보다 더 설득력이 있다.



저자는 스토리는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새겨진 본능이라고 말한다. 우리 뇌가 수신한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고 그 정보를 목숨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스토리로 만들어 가는지 밝힌다.



우리는 누군가의 말을 들을 때 기본적으로 저항감을 갖는다. 특히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 다르면 그 저항감은 더 커지기 마련이다. 우리가 스토리를 들려줄 상대방은 누구인지, 그리고 그 상대방에게 요청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



스토리 본능을 가진 인간이 상대방의 저항감을 뚫고 끌리는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담겨 있다. 내가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직접 스토리로 창작하는 과정을 배울 수 있다. 상대방의 저항을 극복하고, 상대가 기존의 관점을 바꿔서 우리의 메시지를 받아들일 수 있게 스토리를 만드는 과정을 배우게 된다.



나의 메시지를 끌리게 만드는 과정을 갈등의 힘, 구체성의 힘, 인과관계의 힘, 깨달음의 힘, 스토리의 힘으로 나누어서 다양한 사례와 함께 제시되어 있어 따라하기 좋다. 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이라면 끌리는 스토리 창작의 과정을 따라가보면 좋을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