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터 드러커 어떻게 경영할 것인가 - 피터 드러커에게 직접 배운 경영의 본질
후지타 가쓰토시 지음, 나지윤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6월
평점 :

피터 드러커는 20세기 이후 경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사람 중 하나다. 저자는 드러커 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드러커와의 만남을 통해 그의 경영 철학을 전파하고 있다. 2010년부터는 경영 컨설턴트로 독립하여 피터 드러커의 경영 이론을 바탕으로 기업의 임원과 관리자를 위한 컨설팅을 하고 있다.
피터 드러커에게 직접 묻고 들은 내용들을 토대로 세상의 모든 경영자와 리더들을 위한 피터 드러커의 7가지 핵심 경영이론을 재해석하고 실제 경영에 적용하는 법을 사례를 통해 알려준다.
2005년 타계한 피터 드러커의 이론이 아직까지도 많은 경영인들에게 영향을 주는 이유는 무엇일까? 드러커의 경영 이론은 경영의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룬다. 업무, 비전, 사업 환경, 전략, 혁신, 마케팅, 리더십, 조직문화, 동기부여, 회계, 관리, 커뮤니케이션, IT 기술까지 경영 전체의 방대한 분야를 다룬다.
피터 드러커의 경영 이론은 통합성과 일관성이 있어 경영의 핵심을 종합적으로 배울 수 있다. 많은 분야를 다루지만 경영의 본질을 꿰뚫는 통찰력을 제시한다. 그의 이론은 상아탑에 갇힌 학자의 연구가 아니라 현장에 직접 적용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이념과 실천의 양립을 추구한다.
저자는 피터 드러커 교수의 이념과 실천의 균형 원칙에 따라 책을 저술했다. 드러커가 이야기한 중요한 경영의 원칙들을 실무에 직접 적용하고 실천해 성과를 낸 사례들을 보게 될 것이다.
경영의 방대한 분야를 다루지만 그 중에서 7가지만을 뽑아 핵심 경영 이론으로 소개한다. 리더의 경영목적이 사고하는 두뇌라면 자기 경영은 심장과 같다. 조직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조직문화는 몸통이라 할 수 있다. 마케팅과 혁신이 팔이라면 회계와 커뮤니케이션은 다리라 할 수 있다.
관리자는 아무리 업무 능력이 탁월하고 지식이 많아도 조직원들에게 그것들을 전달하지 못하면 조직은 성장할 수 없다. 따라서 관리자는 자기경영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가치관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리더는 조직의 목적을 설정하고 방향을 잡아야하는 책무를 가진다. 중요한 것은 조직을 생각하는 '사고'와 인간적인 '열정'이 모여야 조직원들을 진심으로 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케팅과 혁신은 고객가치 창조라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케팅이 고객이 지금 원하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혁신은 고객이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 외에도 기업의 정보교환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회계, 조직문화, 디지털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상세하게 다룬다.
이 책은 피터 드러커의 경영 핵심 전략 7가지를 심도 있게 다룬 책이다. 그래서 한 번에 읽고 마는 책이 아니라 이론과 사례들을 짚어가면서 내가 속한 조직에 어떻게 적용할지 고민하면서 읽으면 좋다. 드러커의 이론이 다소 어렵다고 느껴졌다면 좀더 수월하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피터 드러커의 경영 핵심 7가지
1. 자기경영의 원칙 - 나를 대체할 수 없게 만들어라
2. 리더십의 원칙 - 리더는 사람을 등지고 일하지 않는다
3. 마케팅의 원칙 - 고객의 스피커가 되어라
4. 혁신의 원칙 - 행운의 여신을 기다리지 마라
5. 회계의 원칙 - 숫자의 가면을 벗겨라
6. 조직문화의 원칙 - 조직을 쥐고 흔들지 마라
7. 커뮤니케이션의 원칙 - 기술은 조직의 구원자가 될 수 없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