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고의 부모 - 자녀의 인생을 결정짓는 부모의 역할과 자세
주경심 지음 / 라온북 / 2022년 5월
평점 :

"싸워 이겨야 할 대상은 내 자녀가 아니다!"
너무나 와 닿는 말이다. 부모와 아이의 갈등을 다루는 많은 TV 프로그램을 보면 저 말이 와 닿는다. 부모와 아이의 대화와 행동은 남보다도 못해 보인다. 마치 서로가 싸워서 이겨야 하는 대상처럼 보인다. 자녀는 싸워야할 대상이 아니다는 말이 책을 선택하게 했다.
아들 둘을 키우는 아빠로서 반성이 많이 된다. 아내는 아들과 내가 대화할 때는 가슴이 두근거린다고 한다. 나는 잔소리가 많은 편이다. 스스로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잘 안되고 있어서 줄이는 중이다. 아내와 아이들은 내가 싸워서 이겨야할 대상이 아니다는 말을 한 번 더 곱씹어 본다.
내가 잔소리를 하는 이유는 아이들을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런 말과 행동들이 아내와 아이들에게 상처가 된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스스로 반성하고 이렇게 책을 통해 더 배우려고 한다. 배워서 실천하려 한다.
본인이 아는 방식, 배운 방식, 할 수 있는 방식으로만 아이들을 지도하고, 그것이 옳다고 우기고 있는 부모로서의 한계로 인해 선택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다.
나는 내가 잘못 살아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내 아이들은 나보다 더 풍족하고 더 안정된 삶을 살았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내 잔소리는 그런 소망을 담아서 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저자는 '한계'를 언급한다. 내가 알고 있는 지식, 경험의 한계로만 아이들을 한정짓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한다. 어떤 부모나 그들의 경험으로 아이를 한정 지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다만 그런 한계를 인식하고 아이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맞다.
그 동안 내가 하는 잔소리는 내 방식을 아이들에게 주입시키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다. 아이들이 좀 더 자유롭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함을 느낀다.
저자도 두 아이에게 매번 지적질을 하다 아이의 눈에서 아이를 잡아먹을 듯 노려본 채 잔뜩 화가 난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그 이후 스스로를 이해하고 아이를 이해하기 위해 공부하면서 실천을 이어갔다.
자녀를 믿어주고, 이해하는 방법을 경험을 통해 알려준다. 자녀의 눈을 통해 느끼고 자녀의 표정으로 조율하고, 자녀의 웃음으로 행복해지는 양육법이 담겨 있다. 결국 내 자녀가 '틀리다'고 생각하지 말고,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법이다.
저자는 부모 스스로 자신은 어떤 부모인지 먼저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1장을 '나는 어떤 부모인가'로 시작한다. 그리고 양육의 지식이 아니라 현명하게 부모가 되기 위한 지혜를 나누어 준다.
특히 마지막 장에 아이들의 말을 적절하게 번역하는 법은 도움이 많이 된다. 큰 아들이 사춘기로 접어든 시점이라 아이들의 말에 번역기를 돌릴 필요가 있어 보인다. 14가지 상황에 맞는 해석을 꼼꼼히 읽어본다.
저자의 살아있는 경험으로부터 나온 양육법과 많은 공부가 곁들여진 최근에 본 양육서적 중에 가장 좋은 책인것 같다. 사춘기 자녀가 있거나 앞두고 있는 부모라면 읽어보면 좋을 듯 하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