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을 빌려드립니다 - 편집장 출신 작가가 대공개하는 인생 2막을 위한 책쓰기 노하우
조기준 지음 / 활자공방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쓰기는 나의 영원한 버킷리스트다. 아직 1권도 제대로 구상조차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아니 어쩌면 안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지독한 완벽주의자이기 때문이다. 사실 그 동안 결과를 보면 완벽한 게 없지만 말이다. 스스로 완벽주의를 외치면서 아무 것도 안하는 중이다.



2년 전 한 작가가 완벽주의를 버리고 완료주의가 되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어차피 완벽하게 하려고 해도 완벽하지 못하다. 그냥 시간만 흘러가고 시도조차 안한다. 그럴바에는 실패해도 시작하고 또 수정해서 시도하면서 완료해 낸다면 그 자체가 완벽한 것 아닐까?



글쓰기도 더 이상 버킷리스트에만 둘 수 없다. 평범한 사람부터 프로 작가까지 다양한 사람들의 글쓰기 책을 접한다. 그렇지만 읽고 그만이다. 이번에는 처음으로 편집장 출신 작가의 글쓰기 책을 알게 되었다. 이 책에서 무언가 실천할 수 있는 1개만 찾겠다는 일념으로 책을 읽는다.



1주일에 200명 정도의 글을 체크하는 편집장의 입장에서 조언해주고 싶은 많은 말들을 책 한권에 담은 소중한 책이다. 다양한 글을 다루고 다양한 글을 쓰는 편집장이지만 글쓰기에 대한 책을 쓰는 것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다른 책쓰기 책들과는 큰 차별점을 가지고 승부수를 띄운다. 바로 글쓰는 사람의 입장이 아닌 출판사의 마인드로 접근하는 것이다.



출판사의 마인드는 작가의 마인드와 다르다. 작가의 마인드는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쓰는 쪽에 가깝다면, 출판사의 마인드는 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야기를 쓰는 쪽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책을 출판한다는 것은 혼자서 소장하기 위함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내 글을 알리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의 마인드가 아니라 출판사의 마인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출판사의 마인드로 글감은 어떻게 정하고 목차는 어떻게 정하는지부터 시작한다. 저자는 고양이 글쓰기(CATS)를 소개한다. 작가가 힘겹게 쓸수록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이 나온다고 한다. 중학교 1학년생들이 이해하고 독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쓰고 편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C : Clear, 명쾌하고 정확하게 써라


A : Alone, 홀로 내면에 집중하고 꾸준히 습관처럼 써라


T : Trust, 자신을 믿고 써라


S : Special, 특별하게 만든 이야기를 써라



저자가 소개하는 아이비리그 자기소개 에세이를 쓰는 표준 법칙 12개는 진지하게 생각해볼만하다. 우리나라는 학교를 다니는 동안 글쓰기보다 읽는 것을 더 강조하는 것 같다. 그나마 읽는 것도 다양한 분야의 책이 아니라 교과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미국의 아이비리그는 졸업할 때까지 무려 50킬로그램이 넘는 글을 쓴다고 한다.



첫 번째, 전략적으로 생각하라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나를 특별하게 보이게 하는 이야기를 써야 한다. 나의 성격이나 인격을 형성한 여러 가지 사건들을 쓰는 것이 좋다.



두 번째, 과거를 회상하라


과거의 이야기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했던 일로부터 특별한 의미를 찾아보고 고민하는 과정을 쓰는 것이다.



세 번째, 일찍 시작하라


일찍 시작해서 빨리 써야 수정하는 작업을 통해 글을 풍성하게 만들 기회가 많이 생긴다. 초고는 빠르게, 퇴고는 오래도록 하는 것이 노하우다.



네 번째, 지인들에게 공유하라


공부도 내가 배운 것을 친구들에게 가르치면서 느는 경우가 많다. 글쓰기도 부끄러워하지 말고 지인들에게 공유해서 적극적인 피드백을 얻어내는 것이 좋다.



다섯 번째, 진부한 내용은 피하라


누구나 사용하는 진부한 내용을 빼야 한다. 평범한 이야기를 독창적으로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독창적인 내용으로 진화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여섯 번째, 함부로 사용하지 마라


특별한 방법으로 특별한 이야기를 쓰되, 나만 알고 남은 전혀 공감할 수 없는 이야기를 쓰면 안 된다. 중요한 것은 글을 읽는 사람과의 공감이다.



일곱 번째, 의미를 제대로 아는 단어만 사용하라


유행어나 줄임말처럼 특정 계층만 아는 단어는 가급적 쓰지 않거나 원래의 뜻을 병기해주는 것이 좋다.



여덟 번째, 글의 기본 취지에 집중하라


글이 삼천포로 빠지지 않게 하나의 주제의 흐름을 유지해야 한다. 시작하는 글과 끝나는 말이 서로 다른 주제를 다루면 안된다는 말이다.



아홉 번째, 시작에서 강한 인상을 주어라


수많은 글의 홍수 속에서 내 글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저자는 '기승전결'이 아니라 '결기승전'의 형식으로 쓸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열 번째, 결론에 집중하라


시작에서 강한 인상을 주되 용두사미가 되어서는 안 된다. 도입부도 중요하지만 마무리도 중요하다. 결국 깔끔한 마무리는 한 편의 글을 최종적으로 완성한다.



열한 번째, 너무 진지해지지 마라


너무 진지한 글은 읽다가 지친다. 진지한 이야기를 하다가도 위트와 유머가 있는 이야기를 중간중간 배치하면서 파도를 타듯 글을 쓰는 노하우를 익혀야 한다.



열두 번째, 철저하게 교정하라


글의 마무리는 무조건 철저한 교정이다. 빠르게 초고를 작성하고 오랜동안 퇴고의 과정을 거쳐 꼼꼼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판사의 마인드로 책을 쓰는 것이 내게는 맞는 듯 하다. 작가의 입장에서 글쓰기를 다룬 책과 저자의 책을 같이 읽으면 도움이 되는 교착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