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담아, 공방 - 10년 차 금속 공예 공방 사장님이 알려 주는 창업부터 운영, 판매, 수업, 브랜딩까지
배준희 지음 / 크루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예술과 공예에 재능이 없다. 아니 재능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관심은 있다. 다행히 공예, 특히 저자처럼 금속공예에 능한 배우자를 만났다. 아내는 다양한 분야의 공예에 관심이 많다. 아내와 나는 삶의 일정 시점에서 공방카페를 운영하는 꿈을 꾸고 있다. 머지않아 현실로 올 우리의 미래다.



아침 아내와 나의 꿈을 담아 이룰 수 있는 안내서를 발견하여 읽게 되었다. <꿈을 담아, 공방>에는 저자의 10년간의 시행착오와 노하우가 담겨있다. 더불어 가난하게 사는 예술인들이 좋아하는 일을 어떻게 수익으로 연결시킬지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이 담긴 실용서다.



우리가 바라는 인생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수입이 생긴다면 더 좋을 일이다. 저자는 자기가 좋아하는 일로 공방을 운영하면서 수익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자기가 좋아하고 하고 싶은 일을 찾은 사람은 행운아다. 이미 하고 싶은 일을 찾은 사람은 공방 창업부터 고민하면 된다. 하지만 아직 하고 싶은 일을 찾지 못해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저자가 이야기해주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한 번 검토해볼만하다.



단순한 취미를 내 일로 만들어서 본격적인 창업을 하려면 준비해야 할 일이 많다. 나에게 맞는 공간을 찾아서 부동산 계약도 하고, 내부 및 외부 인테리어도 해야 한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통해 만든 공예물을 하나의 브랜드로 만드는 작업도 중요하다.



고객이 사랑하는 브랜드로 만들어서 나를 찾아오도록 해야 한다. 판매만이 목적이 아니라 꾸준히 사랑받는 브랜드로 만들기 위해 브랜드명과 컬러를 정하고 아름다운 스토리를 담는 방법을 잘 설명한다.



특히 컬러로 브랜드를 만든다는 말에 공감이 간다. 노란색을 보면 카카오톡, 녹색을 보면 네이버가 생각나는 것처럼 브랜드에 컬러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아내와 나는 보라색을 좋아한다. 아마도 우리 공방의 색깔, 브랜드의 색깔도 보라색으로 정해지지 않을까한다. 저자의 준에이치 스튜디오는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그레이색을 사용한다.



제품의 브랜드를 만들고 컬러를 결정했다면 이제는 제품을 만들고 판매를 해야 한다. 보기에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디스플레이가 중요하다고 한다. 매장 전면을 통유리로 해서 매장 안이 잘 보이면 좋다. 특히 손님의 시선과 동선을 고려해서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대표 제품들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핵심이다.



특히 관심 있게 읽은 부분은 '진상 손님을 진성 손님으로 만들기' 부분이다. 세상에는 정말 많은 종류의 사람들이 있다. 나와 결이 맞지 않는 손님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저자는 진상이라는 기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라고 한다. 내 기준에서만 판단하지 말고 생각의 관점을 바꾸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한다.



누가봐도 진상 고객은 진상 고객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런 고객에 대해 각별히 신경쓰면 많은 고객들이 진성 고객이 되는 경우가 있다. 다른 시선에서 조금만 신경써보자. 나를 괴롭히는 손님이 나를 도와주는 협력자가 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불, 교환, AS 등의 문제는 보증서나 약관을 통해서 잘 명시해 두는 것이 좋다고 한다.



내 제품 판매에만 머무르지 말고 금속 공예 클래스를 통해 수강생을 가르치면서 같이 성장하는 노하우도 마음껏 푼다. 내가 좋아하는 일로 수입도 늘리고, 다른 사람을 가르치면서 보람도 느끼도, 그럼으로써 좋아하는 일을 계속할 수 있는 동기를 받는다.



저자가 10년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좋아하는 일로 돈을 벌고,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는 일까지 공방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에게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것 같다. 아내도 책을 읽어보고 좋다고 한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