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옳은가 - 궁극의 질문들, 우리의 방향이 되다
후안 엔리케스 지음, 이경식 옮김 / 세계사 / 2022년 4월
평점 :
품절



무엇이 옳은가?



사람은 누구나 본인이 옳고 그름을 잘 판단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나의 경험과 지식에 근거한 지극히 주관적인 판단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저자의 주장에 공감한다. 잘 생각해보면 나도 스스로의 판단을 신뢰하는 편이다. 이런 가치판단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게 만드는 책이다.



저자는 역사적으로 변하지 않는 절대법칙이 있다고 말한다. 바로 '규칙은 변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인간이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관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을 한다. 그러나 기술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는 세대에 윤리 또한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윤리적 가치는 변하지 않는 것일까?



과거에는 무엇이 옳은지에 대한 가치 판단이 비교적 쉬웠다. 그래서 많은 성자들의 가르침에 환호하고 사회의 지침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심지어 남자와 여자로만 구분되어 있던 성의 구별 또한 흔들리고 있다. 남자와 여자의 구분이 옳은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다. 결국 성에 대한 정의, 인식, 가치 판단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도저히 사회적으로 용인할 수 없었던 비윤리적인 기준들이 지금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도 많다. 새로운 세대들은 당연하게 여기는 가치를 이전 세대들은 사회의 종말이라도 가져올 것처럼 우려스러운 시각으로 분노하고 두려워한다.



'무엇이 옳은가?'라는 질문에 자신 있게 답할 수 있을까? 2022년을 살아가는 우리가 옳다고 느끼는 것들은 불과 100년 전에 옳다고 느끼는 것과는 완전 다르다. 성리학이 절대적인 가치관으로 작용했던 조선시대의 옳음에 대한 판단과 최첨단을 달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지금의 가치관이 같을 수 있을까?



책을 읽다보면 윤리적 가치관, 문화적 가치관 심지어는 생물학적인 가치관에 대한 의문까지 든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에 대한 판단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아직도 12살 짜리가 결혼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문화가 있고, 여러 명의 아내를 거느리는 것이 당연한 문화가 있다. 그들 사이에서는 옳은 일이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옳지 못한 일이다.



특히 저자는 옳고 그름에 대한 윤리적 가치관을 뒤흔드는 가장 큰 동력들 중 하나로 기술을 든다. 기술은 옳고 그름에 대한 우리의 관념을 근본적으로 흔들어 놓는다. 기술은 빠른 속도로 윤리의 기준을 바꾸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동성애는 나쁜 것'이라는 사람들의 절대적인 확신을 사라지게 한 것도 기술의 힘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은 더 힘들어진다.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기계인간이 출현한다면 그들과 사랑하고 결혼하는 것이 가능할까? 그리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어야 할까? 과거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이제는 우리가 고민해야할 만큼 우리의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태아의 유전자를 편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부모가 원하는 대로 태아의 유전자를 편집해도 될까? 남성과 여성으로만 구분되었던 성 인식이 지금은 제3의 성까지 인정하게 된 것처럼 사람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것을 용인하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멀지 않았다.



병원과 감옥은 사회의 필수 시설이 아니어야 한다. 아픈 사람이 없고 죄를 짓는 사람이 없는 세상이야말로 모든 사회의 지향점이 아닐까? 그렇지만 병원과 감옥은 사회 구성의 필수요소이고, 사업적인 측면보다는 사회복지적인 측면의 접근이 많았다. 현대의 병원과 감옥은 사업적인 경향이 강하다. 서방 국가들에서는 이미 병원과 감옥을 영리를 추구하는 비즈니스의 한 형태로 본다. 어떤 것이 옳은가?



저자는 책을 통해 옳고 그름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사실 저자의 논리를 따라가다 보면 절대적으로 옳다고 말할 수 있는 것들이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다만 저자는 당연하게 생각하는 가치관, 인생에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의문을 품고 고민을 해보자는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윤리적인 문제도 같이 바뀌어 간다. 가치관은 절대 불변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많은 윤리적인 딜레마들을 주제로 생각을 하고 토론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