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역사 속 전염병 - 왕실의 운명과 백성의 인생을 뒤흔든 치명적인 흔적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4월
평점 :
품절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세계가 3년째 정상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대혼란을 겪고 있다. 역사상 전례 없는 전세계적 규모의 팬데믹으로 많은 것들이 바뀌면서 전염병의 역사를 돌아보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대부분이 유럽의 흑사병을 중심으로 서술한 책이다. <우리 역사 속 전염병>은 전염병 관련 전문가가 아닌 조선시대 역사전문가가 쓴 전염병의 역사적 고증에 가깝다. 조선시대에 유행한 전염병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는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배워야 한다. 이 책도 아마 그런 배움의 연속이 아닐까 싶다. 마침 조선시대 역사 전문가인 저자는 코로나19의 유행을 계기로 우리 역사 속 전염병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저자는 조선 시대의 우리의 선조들이 다양한 전염병을 극복해 나간 역사적 사료를 통해 코로나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한다.
조선시대에 유행한 전염병들을 찾아보고 우리 선조들이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자세하게 다룬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전염병을 담당한 왕실의 의료기관 내의원, 백성들의 치료를 담당한 혜민서, 전염병 치료 전담기관인 활인서, 그리고 조선 최초 근대식 병원인 제중원에 대해 자세히 다룬다.
의료기관들과 더불어 조선시대의 의료활동을 이끌던 의녀들, 허준과 같은 어의들, 정약용과 마과회통, 종두법과 지석영, 홍역, 천연두, 콜레라에 대해 자세하게 다룬다. 조선시대의 의료체계와 의서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마음에 들었다. 그러나 더 관심이 가는 분야는 각각의 전염병의 특징, 전파 경로, 사회에 미친 영향, 그리고 극복해 나가는 과정이다.
조선 후기에 갑자기 유행한 홍역은 한양의 인구증가 때문이라는 견해가 강하다. 기록에 의하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내내 조선에서 유행한 전염병이다. 왕자가 홍역에 걸려서 고생을 했고, 중전과 세자는 피신하기도 했다. 홍역은 한양과 평안도에서 동시에 유행하였고, 삼남 지방으로 확산하는 모습을 보였다.
홍역은 대략 12~15일 정도가 지나야 회복되는 패턴을 보였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에도 양성으로 확진이 되면 1주일간의 격리 기간을 갖는 것도 회복까지 1주일 정도 걸린다는 의료진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조선 후기의 최대의 전염병은 바로 천연두다. 어떻게 유입이 되었는지는 잘 몰라도 당시의 관료들의 초상화에 곰보가 많은 걸 보면 천연두가 얼마나 성행했는지를 알 수 있다. 천연두는 처음 걸리면 고열이 발생하고 사흘 만에 반점이 생긴다고 한다.
천연두로 성녕대군과 광평대군이 사망하기도 한다. 게다가 천연두는 병자호란을 조기에 종식시키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하였다고 판단된다. 숙종 시대에 이르러서는 조선 왕실을 통째로 점령할 정도로 성행했다. 급기야 인경황후는 천연두로 승하하고 만다. 다행히 이런 엄청난 천연두는 현대에 드문 전염병이 되었다.
19세기 조선을 휩쓴 전염병은 콜레라였다. 오늘날에도 영향을 미치는 콜레라는 조선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본다. 사료에 의하면 1821년 4월부터 콜레라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외로부터 유입된 전염병이라 정체를 전혀 알 수 없어서 '괴질'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콜레라는 순조시대를 통째로 혼란에 빠뜨렸다. 콜레라는 감염의 정도가 심각했고, 지금의 코로나처럼 전국 단위로 전파되었다. 치료법을 찾을 수도 없었고, 사람들은 죽어나갔다. 얼마나 많이 죽었는지 사망자 수에 대한 통계를 낼 수 없었다고 한다.
아마도 19세기의 콜레라는 현재의 코로나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처음 겪는 조선사람들이 느낀 혼란과 불안은 오늘날 코로나로 인한 그것과 비슷할 것이라 생각된다.
유명한 역사학자들은 역사는 반복된다고 말한다. 저자도 역사적인 자료를 통해 전염병도 반복됨을 시사한다. 역사를 통해 전염병을 현명하게 극복한 사례를 배우고 현재의 사태를 이겨나갈 지혜를 얻어야 할 것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코로나 같은 팬데믹은 더 자주 그리고 더 심하게 올 수 있다고 말한다. 완벽하게 대비할 수는 없을지라도 조상들의 지혜를 빌려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