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워커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시간 관리법
김지현 지음 / 성안당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보기술이 발전하고 정보의 양이 늘어나면서 해야할 일도 덩달아 늘어난다. 시간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이 24시간이다. 그리고 24시간은 보통 사람이나 유명한 빌 게이츠, 워런 버핏에게도 똑같이 주어진다. 저자도 똑같은 24시간을 어떻게 하면 스마트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 시간관리법에 대해 고민이 많았다.


​디지털 시대의 스마트 워크를 위해서는 스마트워크 리더십과 회사의 문화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한다. 직원이 아무리 스마트한 시스템을 운용하고 성과를 내더라도 리더가 그 방식을 선호하지 않는다면 결국은 그만두게 되어 있다. 그리고 회사의 시스템과 리더가 스마트 워크를 위한 준비를 갖추었다고 해도 회사의 일하는 문화가 받쳐주지 못한다면 실질적 성과를 내기 어렵다.


우리는 일을 더 잘하기 위해서 슬랙, 잔디 같은 스마트 워크 툴을 사용하지만 워커홀릭과 일을 즐기는 것의 차이를 잘 알아야 한다고 한다. 일 자체에 몰입하면 워커홀릭이고, 일이 주는 가치에 몰입하면 즐기는 것이라고 한다. 모든 일을 혼자 하는 것은 워커홀릭이고, 일을 웃으면서 함께 하면 즐기는 것이다.


시간관리의 핵심은 2가지다. 남들이 자거나 놀 때 생산적인 일에 투자하거나 서너 시간 걸릴 일을 한 시간에 하는 것이다. 즉 성실함과 열정으로 일을 하거나, 지식과 역량으로 효율을 챙기는 것이다. 특히 같은 시간에 보다 빠르게 일을 처리하려면 스마트툴을 잘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저자가 제시하는 시간관리 10계명 중에 특히 2가지가 울림을 준다.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일을 먼저 하라. 보통은 오래 걸리더라도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고 한다. 그러나 경험상 중요한 일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고 그러다보면 작은 일들도 해 놓은 일이 없어서 일만 쌓이게 된다. 저자는 10분 안에 끝낼 수 있는 일은 먼저 끝내라고 한다. 맞는 말이다. 


다른 조언은 내가 할 수 없으면 잘 할 수 있는 사람의 도움받기다. 나의 능력을 평소에 잘 파악하고 있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정확하게 처리하되 다른 팀원이나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 착한 사람인양 모든 일을 맡아서 일처리에 문제가 생기게 해서는 안 된다.


스마트한 시관관리의 중요성을 알았다면 시간관리를 도와줄 도구들을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스마트폰의 스케줄 관리 도구 사용하기, 태블릿과 전자책 활용하기, 타임 타이머의 활용으로부터 시작하자. 마인드맵 도구로 생각을 정리하고, 캘린더앱을 사용하여 미팅 및 회의를 잘 관리하면 업무관리의 프로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드롭박스와 구글 독스를 통한 협업툴을 익히면 금상첨화라고 한다. 아직 이 부분은 나두 사용해본 적이 없어서 한 번 사용해 봐야 하겠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감사하게 읽고 주관적인 의견을 적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