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티오빠스파
신이비 지음 / 달꽃 / 2024년 7월
평점 :
《개티오빠스파》라는 제목부터 심상치 않은 기운을 풍기는 이야기를 만나보았다. 제목은 지역명과 지역 사투리의 결합으로 풀어쓰면 '개티 마을 땅벌 파'라고한다. 참 별 의미 없는 단어들의 가벼운 조합이다. 하지만 이야기를 다 읽고 난 후에 접하는 제목이 전해주는 무게는 상당하다. 이야기는 1979년 4월 19일을 시작으로 1980년 봄을 지나 1987년 6월 서울에서 끝을 맺는다. 우리 현대사의 의미 있는 날들이 보여서 그렇지 이 소설 속 이야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그런데 의미 있는 날들이 보이는 것만으로도 이야기의 깊이가 달라지는 것 같다.
p.198. 1980년 봄, 왕소나무가 쓰러지고 산불이 나고 우리에게 봄은 없었다.
신이비 작가는 《개티오빠스파》를 통해서 서리가 아직 절도로 여겨지지 않던 시절 어느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자연스럽고 자유스러운'것들을 꿈꾸던 소년들의 성장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소년들은 이름보다는 각자의 특성에 맞는 별명으로 서로를 부르며 평범한 일상을 보낸다. 그러던 중 소년들 앞에 조금 독특한 두 소년이 나타나면서 '개티오빠스파'가 시작된다. 대장 몬돌이 형을 중심으로 잠자리 소년 다소니까지 누구도 상상하지 못할 비밀 아지트에서 서로의 추억들을 만들어간다.
p.231. 1987년 6월, 항쟁의 거리는 뜨거웠다.
다소니는 비행을 꿈꾸며 날개를 만들고 그 제작비를 모으기 위해 아이들은 다양한 돈벌이에 나선다. 그중에서 연애편지 심부름이 새로운 갈등을 만들어낸다. 이야기에는 주요 흐름마다 부딪치는 어른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어른과의 갈등이 아이들을 힘들게 한다. 아이들과 어른의 다툼은 어떻게 이어질까?
게티오빠스파의 기록은 이야기 수집이 특기이던 소설의 화자話者 '수집가'가 맡는다. 그런데 이야기 속 소년들이 '기록'의 중요함을 알고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기억은 희미해지고 기록마저 사라지고 없다면 우리 어렸을 때의 추억은, 개티오빠스파의 추억은 시간 속에 묻혀버릴 것이다. 하지만 소년들은 기록을 남겼고 그 기록은 추억으로 이어져 역사가 되었다.
개티오빠스파의 시간에서 우리들의 추억을 떠올리게 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다른 시간 다른 공간에 살고 있지만 공감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달꽃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