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유머 스타일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머도 목적, 누구를 위해서인지, 유머가 유익한지에 따라서 나뉘는 걸 난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캐나다 심리학자가 분류함)
1) 자기 고양적 유머 : 모든 상황에서 긍정적이고 힘든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머를 사용한다. 자칫 남에게 상처를 줄 만한 상황을 웃음으로 넘긴다.
2) 관계적 유머 : 타인과의 관계를 중시해서 하는 유머. 상대방을 즐겁게 해주고 분위기를 어색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3) 공격적 유머 : 상대방 반응이나 분위기와는 상관없이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불편한 유머. 자기 자신은 재미있다고 진심으로 느낀다고 한다(소름)
4) 자멸적 유머 : 자신을 지나치게 비하하면서 상대를 즐겁게 하고 인정받으려고 애쓰는 유머. 어떤 사람은 우울감, 낮은 자존감 등의 부정적 감정을 감추려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한다.
당연하게도 자기 고양적 유머와 관계적 유머를 사용하는 사람은 관계에서 긍정적 영향을 주고 공격적 유머와 자멸적 유머는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굳이 연인 사이가 아니더라도 인간 관계에서 유머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 같다. 유머가 주는 힘은 강력하고 잘만 사용하면 긍정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심심치 않게 ‘유머 스타일이 잘 맞는 사람‘이 이상형인 걸 보고 듣기도 한다. 그만큼 유머는 중요하다. 나도 내 유머에 잘 웃어주는 친구들이 있다면 유독 장난이나 헛소리를 많이 하게 되기도 한다. 반면 공격적 유머의 설명을 들었을 때 머릿속에서 스쳐지나갔던 몇몇 사람들 때문에 기분이 안 좋아지기도 했다^^ 이 사람들은 유머가 아니라 끝없는 자기 착각에 빠지는 거라고 생각해야겠다.
_사랑을 시작할 때
연애를 시작할 때 우리는 상대방과 이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불안감을 느낀다. 이는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사랑하기로 생각했다면 그냥 믿고 나아가는 수 밖에 없다.
_어디까지 해봤어?
우리는 사랑에 빠지면 다양한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의 영향으로 대범해지고 의욕이 솟구치고 희생정신마저 투철해진다. 에너지가 넘치기도 한다. 특정 인지능력도 발달시킨다. 아무튼 사랑에 빠지면 우리의 감각이 예민해지고 능력치가 올라간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합리적인 행동은 아니라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없다. 흔히 이 기간에 연인은 서로에게 섭섭함을 느낀다.
이 챕터를 읽으니 사랑은 참 야속한 것 같다. 한없이 상대방에게 몰입하게 만들어버리고는 또 그 상황이 합리적이지 않아서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없다는게. 한편으로는 불확실성이 포함된 사랑이라 그런지 이렇게라도 신체의 장난이 없다면 할 수 없는걸까 이런 생각도 든다(좀 과한 생각이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