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02. 24. 금

국군 포로 장무환 구출 작전 2

장무환 씨를 발견했지만, 그를 고국으로 데려오는 것은 참 험난한 일이었다. 그는 한국전쟁 포로로 북한으로 억울하게 끌려간 것이었지만, 법적으로는 북한 주민에 사망한 상태였기에 외교적 문제로 그를 공식적으로 도와줄 수 없다는 여러 단체의 대답만 들을 수 있을 뿐이었다. 더군다나 장무환 씨를 숨겨주었던 곳에서 제작진과 장무환 씨, 그들의 가족이 나가려고 하자 돈을 내놓으라고 협박까지 했다.
설득에 설득을 끝에, 원래 달라고 했던 돈보다 약간 적을 돈을 내고 나갈 수 있었으며 차를 타고 기차역으로 가 기차를 타고 항구도시로 배를 타고 한국으로 들어가는 아주 긴 여정이 시작된다. 기차를 타고 항구도시까지 어찌저찌 공안의 눈을 피해 갔으나 장무환 씨는 여권이 없었기에 결국 가족들이 먼저 한국으로 돌아가 방법을 찾기로 했다. 그때 영화와 같이 영욱 씨의 삼촌에게 의문의 누군가가 전화를 걸어 장무환 씨의 여권을 만들어주어 여권을 가지고 배에 오른다. 출국심사대에서 중국에 입국했다는 도장이 없다고 다시 난관에 부딪혔지만, 삼촌의 억지(?)로 다행히 심사대도 넘기고 겨우 한국으로 올 수 있었다.
장무환 씨는 한국으로 들어오자마자 가족들과의 상봉이 아니라 면역식을 했으며, 수십년이 지나서야 제대를 한 것이다. 그 이후로는 한국에 들어와 아내인 순남 씨와 13년을 살다가 병으로 돌아가셨다.
사실 장무환 씨는 아내인 순남 씨에게 북에는 자식이 없다는 거짓말을 했지만, 사실 그는 북한에서 자녀 5명을 낳고 손자까지 본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도 포로로 끌려가 탄광에서 푸대접을 받으며 일을 하고, 북한이 탈북을 막기 위해 강제로 결혼을 시키기도 했고, 외로웠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긴 했다. 그래도 거짓말을 한 것은 사실이니 순남 씨에게 진실을 말했다. 순남 씨는 화를 조금 내기는 했지만 그건 자신을 속였다는 것 뿐만 아니라 북한에 있든 남한에 있든 이산가족이 될 수 밖에 없는 장무환 씨에 대한 안타까움이기도 했다. 장무환 씨는 병세가 악화되어 돌아가셨는데 가끔 ˝북한에 가서 가족을 보기도 했다˝는 말을 하며 북한에 있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기도 하셨다.
그래도 우여곡절 끝에 고국의 땅에서 눈을 감으실 수 있게 되었다.

억울하게 북한에 끌려가 인생의 반을 힘들게 살아야했던 모든 국군포로 병사님들의 이야기였다.
그냥 상황이나 전개 자체가 한편의 스릴러 영화를 보는 것 같아 재미 자체도 있었고, 언제나 늘 그랬듯 ˝알려지지 않은 피해자˝ 들에 대한 이야기는 항상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것 같다.

아버지가 돌아가실 무렵 밤에는 밤새도록 어디 가려고 막난리 치더라 이거지. 아버지한테 "어젯밤에 어디 갔다 왔어요?" 하니까 뭐 ‘북한에도 갔다 오고 고향에도 갔다 오고 했다‘ 하더라. ‘북한에 가갖고 엄마 만나고 왔어요?" 하니까 만나보고 왔다 하더라고.
-장영욱 씨(장무환 씨 아들) - P3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