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09. 27. 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05. 서진룸살롱 살인 사건
 
이 사건은 한국 조직폭력배 역사 중에서 길이 남을 사건인 ‘서진룸살롱 살인 사건’에 관한 일이다. 1986년에 일어난 이 사건은 20대 초~중반들의 청년들로 구성된 서울 목포파와 당시 전국구 조직이었던 서방파의 방계조직이었던 맘보파의 작은 시비에서 시작되었다. 어찌 보면 술집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조직폭력배들 간의 기싸움에서 시작한 것이었지만, 이 사건의 주범이었던 고금석이 흉기를 이용해 맘보파의 행동대장을 찌르면서 살인이 시작됐다. 비록 유명하지 않던 조직폭력배였지만 혈기왕성한 청년들로 구성된 서울 목포파는 고금석의 공격을 시작으로 걷잡을 수 없이 잔인한 살인을 시작했다. 모든 상황이 끝나기까지 불과 2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결국 사건이 벌어지고 1년 2개월이 지난 1987년 10월 대법원에서 직접 공격행위에 가담하지 않았던 두목 장 씨에게는 무기징역, 칼을 들고 일선에서 공격했던 행동대장 김 씨와 고금석에세는 사형이 선고되며 마무리됐다.
그러나 이 사건의 여파로 인해 당시의 노태우 정권은 일명 ‘범죄와의 전쟁’을 내세우며 조직폭력배 청산이 시작됐다. 경찰과 폭력조직과의 2년간의 전쟁 끝에 전국구 조폭 시대가 끝나고 만다. 당시 서울 목포파가 설립됐을 당시 조폭계를 정화하겠다는 그들의 야망이 조금은 다른 방향으로 이뤄진 셈이다.
 
이 서진룸살롱 사건의 주범이었던 고금석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이러한 사건의 범인들은 대개 불우한 시절을 보낸 경우가 많지만 고금석은 그렇지 않았다. 아버지는 아이들을 가르치며 섬마을 사람들의 존경을 받고 어머니는 고금석을 사랑으로 돌봐주셨다. 순하고 예의가 바른 고금석은 마을에서도 칭찬이 자자했으며 다리가 불편한 어머니를 위해 자가용을 사드리는 게 꿈인 아이였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면서 서울에서 자취를 시작했다. 학교를 졸업하여 체육교사가 되어 어머니께 자가용을 사드리는 꿈을 가지고 있던 고금석을 선배인 장 씨가 눈여겨본 것이다. 그의 자취방에는 같은 고향 출신의 동기와 선배들이 자주 드나들었다. 당시 체육계열의 선후배 문화로 인해 장 씨의 제안을 거절을 힘들었던 고금석은 점차 어두운 세계로 빠져든다. 얼떨결에 싸움에 휘말린 고금석이었지만 그 대가를 큰 돈을 받고 점차 발을 빼기가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섬마을의 순박한 소년이었던 고금석이 어느새 서울 목포파의 칼잡이가 되어버린 것이다.
 
그는 사형 선고를 받고 수감생활을 하며 불교에 귀의한 그는 완전 다른 사람이 되었다. 새벽 3시에 일어나 피해자들에게 참회하며 삼천배를 올렸다. 무릎이 벗겨져 피가 흐를 정도였다. 남의 목숨을 빼앗은 자신 같은 사람이 어떻게 하루에 세끼를 먹냐며 한 끼만 먹고 나머지는 다른 재소자들에게 나누어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다른 재소자가 곤란한 일이 생기면 무조건 도와줬다. 산골 분교 아이들에게 편지와 함께 학용품값 5만원을 매달 보내기도 했다. 이렇게 참회하는 그를 삼중스님은 그의 사형 집행 후에도 오랫동안 잊지 못하였다. 그의 죄가 없어지지는 않고 죗값을 받아야 마땅하지만 참 많이 변했다고.
 
이 사건을 보고 이렇게 말하면 살인자를 미화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고금석이 불쌍하게 보이기는 했다. 이게 고금석과 삼중스님, 그리고 그의 선행이 부각되어 보여 그럴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그래도 조금 이성적으로 생각해보자면 과연 ‘고금석이 좋은 사람인가, 나쁜 사람인가’ 라는 질문에서 어떤 답을 내려야할까. 사람을 그렇게 무 자르듯 좋다, 나쁘다라고 표현할 수는 없다. 그때 그 사건을 일으킨 것도 선배에게 휘둘렸다한들 모두 다 그의 선택이기 때문이다. 감히 나의 의견을 얘기해보자면 그가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보다 한 순간의 잘못된 선택이라고 봐야할 것 같다. 물론 이 ‘잘못된’이라는 말이 붙었으니 나는 고금석이 기본적으로는 선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어린시절, 성격, 주변사람들의 말을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난 뒤 책에서 본 내 의견은 그렇다. 그의 죄는 씻을 수 없고 죗값을 받아 사형을 받았지만 나는 과연 고금석처럼 그렇게 포기하지 않고 참회할 수 있을까? 솔직히 자신은 없다. 이미 난 쓰레기라는 생각에 반성은 할지라도 이렇게 몸소 매일매일 저런 모습을 보여줄 수는 없을 것 같다.
우리는 언제나 선택의 기로 속에 놓여있다. 사소한 것에서부터 중대한 것까지 수많은 선택에 놓이는데 우리는 정답을 찾는 게 아니라 최선을 선택하고, 어쩔 때는 최악을 피하는 경우도 있다. 언제나 그렇다. 선택을 했다면 책임을 져야 하고 오롯이 그를 짊어져야 한다. 그런 면에서 고금석은 ‘책임을 오롯이 진 사람’은 맞는 것 같다.

사형이라는 죄목에 대해서는 억울하니 얘기할 건 없고, 그러나 인간은 저렇게 변할 수 있는 거구나. 내가 스스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야 변해지는 거죠. 그걸 배우는 거죠. 저렇게 변해가는구나. 그 사람이 어떻게 살았느냐는 떠날 때 보면 알아요. 한 인간의 마지막 모습....(삼중스님 인터뷰 중)
-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