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트 뷰잉
김세환 지음 / 조이럭북스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언젠가 도서관에서 ‘리모트 뷰잉’이라는 초능력을 다룬 책을 흥미롭게 읽었던 적이 있다. 초능력과 같은 놀라운 능력임에도 타고나지 않아도 훈련으로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이 신기했고, 이런 것이 실제 가능한지 궁금했다.
리모트 뷰잉이란 직감과 오감을 극대화시켜 대상의 정보나 지식을 취하는 툴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능력은 시공간의 구애 없이, 대상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를 정확하게 가져온다. 우리가 흔히 영화나 드라마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사이킥 능력에 대해서 접하는데, 이런 능력들은 보통 타고나는 걸로 알고 있다. 그에 비해 리모트 뷰잉은 ‘프로토콜’이라는 일정한 공식이 있는데, 이를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리모트 뷰어가 될 수 있다고 한다.


리모트 뷰잉이 직역하면 원격투시가 되기 때문에 뭔가를 보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엄밀히 말하면 느낀다는 표현이 알맞다. 직감을 통해 받은 정보를 오감을 통해 해석하기 때문이다. 즉 느끼고 기술하는 것이 리모트 뷰잉이다.
리모트 뷰잉은 원래 스탠포트 연구소에서 인간의 직감 또는 육감을 더 정확하고 쉽게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라고 한다. 미국 국방부가 이를 정보수집의 목적으로 이용하면서, 이후 30년 이상 비밀리에 개발되고 운용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재탄생한다.
1991년 걸프전 동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원들은 리모트 뷰잉을 통해 사담 후세인의 무기와 포격 기지, 군사 활동, 정치 활동, 사생활까지 감시했다고 한다. 단지 8명의 리모트 뷰어를 배치했을 뿐이지만, 이들을 통해 후세인의 위협을 막을 수 있었고 그의 활동을 연이어 실패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한다. 이를 통해 걸프전의 종식을 가져올 수 있었다.


이 책에는 이와 같은 리모트 뷰잉이 무엇인지에서부터 역사와 종류, 한국형 리모트 뷰잉, 관련 Q&A 등에 이르기까지 리모트 뷰잉과 관련된 정보를 수록했다. 특히 이 책은 한국인에게 알맞은 리모트 뷰잉 배우기를 수록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미국인과 한국인의 시각화 능력의 차이로 리모트 뷰잉 역시 한국인들에게 적합한 습득 방식이 따로 있다고 한다. 미국인은 시각우위형이 많기 때문에 시각화를 눈앞에서 할 수 있다. 즉 앞에 보이는 듯한 이미지를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비해 한국인들은 대부분 생각우위형이다. 그래서 이미지가 떠오르기보다는 관련해서 어떤 관념이 떠오른다. 이러한 차이점을 바탕으로 한국인에 적합한 리모트 뷰잉 실전 준비에서부터 훈련법, 실전 예시와 확장에 대해서 상세하게 안내했다.
리모트 뷰잉은 신기한 초능력이기에 앞서 각자의 삶의 의문들을 해결해줄 수 있는 도구이기도 하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의 삶의 의문들을 해결해주었다고 한다. 더불어 변호사, 기자, 교육자, 의사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이 능력을 일상 속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저자 역시 리모트 뷰잉을 통해 얻는 것은 미래에 대한 앎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한 깊은 수준의 이해와 나 자신에 대한 이해라고 강조했다.  


리모트 뷰잉은 능력 자체를 떠나 누구나 훈련을 통해서 습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무척 흥미로운 능력이다.  하지만, 그 훈련과정의 임계점을 넘지 못하면 이 역시 습득할 수 없을 것이다. 이 때문에 당장 체감할 수 없는 능력이라 반신반의한 것도 사실이고, 훈련법 역시 수월하게 다가오지는 않았다. 그래도 긍정적인 관점을 갖고 있기에 조만간 시간을 내서 이 책의 훈련법을 조금씩 따라해볼 생각이다. 리모트 뷰잉 역시 일단 직접 경험해보고 납득해야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이로 인해 리모트 뷰잉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과 관심의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 책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점도 이런 이유이다.   
하지만, 관련 능력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이 책이 한국 최초의 리모트 뷰잉 전문서라고 하니 이 책을 통해서 이해하고 시작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개인적으로 아직은 쉽게 접근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지만, 이런 능력을 키울 수 있다면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흥미로운 경험이 되리라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